지난해 채모 상병 사망사건 당시 국가안보실에 파견돼 있던 해병대 관계자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을 비롯한 해병대 관계자 등과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경향신문이 확보한 김형래 전 안보실 행정관(해병대 대령)의 통화내역을 보면 지난해 7월28일부터 8월9일 사이 김 대령과 해병대 인사들 사이 전화통화와 문자메시지가 60여 차례 오고갔다.
지난해 7월28일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김 사령관에게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과실치사 피혐의자로 경찰에 이첩하겠다고 보고하고 임 전 사단장이 김 사령관에게 사의를 밝힌 날로, 수사외압 의혹의 시작일이다. 이후 7월31일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 조사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윤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사이 세 차례 통화가 이뤄지기도 했다. 8월2일에는 박 대령이 김 사령관 등의 만류에도 예정대로 경찰에 사건기록을 이첩했고, 같은 날 국방부가 이를 회수해왔다. 그리고 8월9일 국방부 조사본부가 사건 재검토를 시작했다.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적인 시기에 김 대령이 해병대 관계자들과 집중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은 것이다.
김 대령은 7월28일 박모 해병대 사령부 중수과장, 김모 국방부 조사본부 수사단장과 연락했고, 이튿날엔 김 수사단장 외에 이모 해병대 참모장과도 통화했다. 7월30~31일엔 김 사령관, 권모 해병대 정책실장, 김모 해병대 사령관 비서실장, 박 대령 등과 통화했다.
8월에도 김 대령은 김 사령관 등 해병대 인사들과 연락을 이어갔다. 김 대령은 박 대령이 보직 해임되고 항명 혐의로 입건된 8월2일과 8월8일 김모 해병대 사령부 인사처장과도 통화했다.
앞서 김 대령은 채 상병 사망 후 안보실과 해병대간 통로 역할을 했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김 대령은 채 상병 사망 이틀 뒤인 지난해 7월21일 박 대령 측에 수사계획서를 요구해 받았다. 7월30일엔 김 사령관과 통화한 뒤 해병대 수사단으로부터 수사참고자료를 전송해 달라고 요구했고, 다음날 언론브리핑 자료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