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지난주엔 고려 조선의 빼어난 천문관측 사례를 더듬어보았습니다. 1572년의 ‘티코 초신성’과 1604년의 ‘케플러 초신성’ 등 밤하늘의 우주쇼를 조선의 천문학자들도 목격했으며,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 <석담일기> 등에 그 관측기록을 담았음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1604년 요하네스 케플러가 관측한 초신성의 경우 조선천문관리들이 4일이나 먼저 관측했습니다. 1572년 서양의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가 목격한 초신성의 경우 똑같은 날짜 <선조수정실록>에 기록됐습니다.

비단 서양에서도 거의 동시에 관측된 객성(초신성·신성·변광성)의 기록뿐이 아닙니다. <고려사>나 <조선왕조실록>에는 서양에서는 관측하지 못한 중요한 객성 기록이 있습니다. 예컨대 1973년과 1074년 고려의 하늘에서 관측된 신성과, 1592~1594년 사이 15개월이나 목격된 변광성 및 신성 기록이 그것입니다. 천문관측에 관한한 고려 조선의 수준이 서양을 뛰어 넘어섰다는 증거입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듣기

그렇다면 의문점이 생깁니다. 왜 고려 조선 등 우리 조상들은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요. 아닌게 아니라 천문관측을 잘못한 관리들은 곤장을 맞고 유배형을 받을 정도였습니다. 요즘 날씨예보를 잘못했다 해서 기상청 관리를 처벌하고, 일식이나 객성 출몰소식을 잘못 전한 천문관리들을 “매우 쳐라”는 식으로 치도곤한 셈이지요.

이렇게 고려나 조선의 임금들이 천문관측가 날씨예보에 왕조차원의 관심을 보인 까닭이 있었습니다. 하늘의 성변을 제대로 관측하는 것은 하늘과 백성의 마음을 제대로 읽는 통치권자의 능력이었습니다. 왜냐. 옛 임금들은 민심은 곧 천심이며, 하늘의 조화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곧 백성의 마음을 제대로 읽는 것이라 믿었습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152회는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입니다. 천문관측에 왕조의 명운을 걸었던 옛 조상들의 하늘땅 별땅 이야기를 들어보십시요.

이런 기사 어떠세요?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