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제주도 하면 무슨 생각이 드십니까. 뭍사람들에게는 로망이지요. 뭔가 세파에 찌들어 살고 있는 육지 사람들은 한번쯤 평화롭고 아름다운 제주도에서의 삶을 상상해보곤 하지요. 최근에는 가수 이효리씨가 세상 편한 모습으로 살고 있는 TV프로그램을 보면서 한껏 부러워하게 되지요. 얼마나 부러우면 제주도 여행가서 굳이 이효리씨의 집을 찾아가는 분들도 있다면서요. 뭐 제주도까지 가서 남의 사생활을 훔쳐볼 필요가 있습니까. 그보다 훨씬 의미있는 곳들도 많은데….

화산섬 제주도의 풍치는 말하지 않아도 유명합니다. 그러나 뭔가 새로운 의미를 찾아가는 여행을 어떨까요. 지금으로부터 1만년전의 제주도를 가보는 그런 여행 말입니다. 제주도야 말로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를 연결하는 이른바 ‘경계인’이 살았던 곳이거든요. 그 이들의 흔적이 제주도 고산리라는 곳에 남아있습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듣기

뭐 뻑적지근한 유적은 아닙니다. 그러나 해발고도 15~20m의 넓은 평탄대지에서 살았던 1만 년 전 ‘경계인’의 체취를 한번 맡아보면 어떨까요. 이곳에서는 구석기 최말기의 유물과 신석기 조기의 유물이 공반되어 나옵니다. 제주도의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문화상입니다. 게다가 풍치까지 빼어납니다. 그렇다면 1만년전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의 경계인들은 어떻게 거센 파도를 헤치고 제주도로 왔을까요. 엄청 쉬웠습니다.

왜냐면 제주도는 섬이 아니었기 때문이죠.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는 때는 지금부터 2만~1만8000년 전입니다. 그때부터 지구는 온난화의 길을 걷게 되지요. 그 무렵 서해바다는 몇 개의 강줄기가 흐르는 육지였습니다. 중국과 한반도, 제주도는 그냥 육지로 통해있었습니다. 그러다가 빙하가 녹아 물이 고이기 시작했고, 1만1000년부터는 급속도로 차올랐습니다. 급기야 제주는 섬이 되었고, 아주 쉬운 방법, 즉 도보로 왔던 사람들은 더 이상 빠져나가지 못했던거지요. 그 사람들이 남긴 문화가 바로 제주섬에서 발굴된 것입니다. 제주도에서 밟아보는 1만년전 세상….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155회가 할 이야기는 바로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입니다.

이런 기사 어떠세요?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