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자에 보관했는데’…감쪽같이 사라진 신윤복 그림

2024.06.17 21:00 입력 도재기 선임기자

일본서 197년 만에 들여와

후암미래연구소가 소장 중

2020년 1월 도난 사실 인지

소재 확인 못해 최근 ‘신고’

197년 만에 일본에서 국내로 돌아와 주목받았던 조선 후기 대표적 풍속화가인 혜원 신윤복의 그림이 사라졌다는 신고가 들어와 당국이 확인에 나섰다.

1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신윤복의 1811년 작품 ‘고사인물도’(사진)를 소장하고 있던 사단법인 후암미래연구소가 그림이 사라졌다며 최근 서울 종로구청에 신고했다.

그림을 소장해온 후암미래연구소는 종로구청과 국가유산청에 신고를 하면서 “족자 형태의 그림을 말아 오동나무 상자에 보관해왔으나 2020년 1월 사무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소장품이 없어진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소 측은 2019~2020년 사이 도난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소는 그림이 사라진 사실을 알고도 약 4년이 지난 최근에 종로구청을 통해 도난신고를 했고, 국가유산청은 누리집의 ‘도난 국가유산정보’를 통해 이 사실을 공고했다. 연구소 측은 그동안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기도 했으나 그림 소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사라진 그림은 신윤복의 1811년 작품이다. 마지막 조선통신사 파견 때인 1811년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2008년 개인이 일본 수집가에게서 구입해 197년 만에 국내로 돌아왔으며, 2015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그림으로 본 조선통신사’ 전시에서 일반에게 공개되기도 했다. 고사인물도는 신화나 역사 속 인물에 얽힌 일화를 주제로 그린 그림이다. 사라진 ‘고사인물도’는 제갈량이 남만국의 왕 맹획을 7번 잡았다 놓아주면서 심복으로 만들었다는 ‘칠종칠금’ 고사를 다룬 그림이다. 우측 상단에 ‘조선국의 혜원이 그리다’라는 먹글씨(묵서)가 있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