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정부 임기 마지막 취업자 '역대 최대' 기록했지만…대면 분야 회복 더디고 낮은 일자리 질은 숙제

2022.05.11 08:00 입력 2022.05.11 16:18 수정 이창준 기자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4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의 임기 마지막 달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대비 86만명 이상 증가하며 4월 기준으로는 22년만에 최대 증가 폭을 보였다. 집계 이후 처음으로 월간 취업자 수가 2800만명을 넘어서는 등 역대 최고 수준의 고용 규모가 유지됐지만, 정부는 고용 질적 측면에서 보면 아직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07만8000명으로 집계되면서 전년 동월대비 86만5000명 늘었다. 4월 기준으로는 지난 2000년(104만9000명)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지난 달 처음으로 월간 취업자 수가 2800만 명을 넘어섰다.

고용률과 실업률도 각각 역대 최고·저치를 경신했다. 15세 이상 전체 인구의 고용률은 62.1%로 집계되며 전년 동월대비 1.7%포인트 늘었다. 이는 지난 1982년 통계 작성 이후 4월 기록으로는 역대 최대 수치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46.6%로 전년 동월대비 2.2%포인트 증가, 해당 수치를 기록하기 시작한 1989년 이후 4월 기준 역대 최고치였다. 지난달 실업률은 3.0%를 기록해 관련 통계 기준이 변경된 1999년 이후 4월 기준 최저치를 다시 썼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0%포인트 떨어졌다.

정부는 코로나19 충격이 장기적으로 회복되는 과정에서 수출 증가세 등에 힘입어 고용 규모 증가세도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수출 호조와 산업의 비대면 디지털화 등으로 취업자는 증가했고 실업자와 비경제 활동 인구는 감소했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같은 기간 23만명 늘면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제조업(13만2000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10만4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금융 및 보험업(-5만4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2만7000명)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공 국장은 “금융 및 보험업은 비대면 근무가 확대되고 점포 수가 감소한 영향이 지속되고 있다”며 “숙박 및 음식점업과 관련해서는 거리 두기가 완전 해제된 5월 종사자 수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역대 최고 수준의 고용 규모를 기록했지만 정부는 고용 상황이 코로나19 이전으로 완전히 회복됐는지는 불투명하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 이전인 2020년 1월 대비 지난달 취업자 수는 숙박·음식 분야는 90.9%, 예술·여가는 94.0%, 도·소매는 93.2%에 불과했다.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 같은 기간 약 104.8%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정부는 일자리의 질적 측면도 거론하며 고용 시장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직접일자리’로 분류되는 공공행정 분야나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으로 수요가 확대된 보건·복지 분야의 취업자 수가 전체 취업자 증가 분의 37%(32만명)에 달했다.

직접 일자리와 관련해서 정부는 같은 흐름의 통계를 두고 정권 교체 이후 서로 상반된 평가를 내놨다. 기재부는 이날 분석 자료에서 “취업자 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지만 직접 일자리 등 공공부문 취업자 증가 영향도 상당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재부는 문재인 정권 당시인 지난 4월, 3월 고용 동향을 발표하면서 “공공행정·보건복지 분야의 일자리 증가가 공공·준공공 부문의 민간 일자리 버팀목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고 긍정평가했다. 정권교체가 되면서 고용증가에 대한 기재부의 해석도 달라진 셈이다.

정부는 향후 취업자 수 증가세가 둔화할 요인이 크다고 내다봤다. 기재부는 이날 분석 자료에서 “2월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한시적 보건 인력 수요가 급증하는 등 최근의 일시적 증가 요인이 소멸하며 증가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중국 봉쇄조치, 물가 상승세 지속 등 고용 하방 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