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한? 뚜껑 열어봐야” “해당 행위”···친윤의 거세진 한동훈 견제

2024.06.18 11:27 입력 2024.06.18 15:31 수정 이보라 기자

지난 총선 패배 지휘

한동훈 책임론 부각

친윤계가 대항마 물색

지원 사격 관측도 나와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어대한(어차피 당대표는 한동훈)’ 기류가 커지자 친윤석열(친윤)계를 중심으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견제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친윤계가 한 전 위원장의 대항마를 물색해 지원 사격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친윤계는 윤석열 대통령과 거리가 생긴 한 전 위원장의 당대표 출마를 경계하고 있다. 친윤으로 분류되는 유상범 의원은 18일 CBS 라디오에서 “어대한이라고 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항상 적극적 지지자들의 목소리가 크게 나타나는 것”이라며 “언제든지 민심이나 당심도 상황에 따라서 바뀐다”고 말했다.

조정훈 의원도 이날 MBC 라디오에서 ‘어대한’ 여론 조성이 “해당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한동훈 아니면 절대 안 된다라고 여론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이 있다”며 “절대로 그래서는 안 된다. (한 전 위원장이) 본인의 책임을 졌기 때문에 사퇴한 거 아니겠나. 다른 분들 나오는 걸 절대로 막는 여론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지난 총선을 지휘한 한 전 위원장의 책임론을 부각한 것으로 읽힌다. 한 전 위원장과 윤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한 전 위원장이) 아직까지 대통령이 제안한 식사 제안을 진행하지 않은 걸로 알고 있는데 본인이 풀어야 될 숙제”라고 했다.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으로 꼽히는 이철규 의원도 전날 KBS 라디오에서 ‘어대한’은 “당원들을 모욕하는 말”이라며 “우리 당의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주장이고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어대한이라고 하는 현상에 대해서 보면 보수 지지층의 한 전 위원장에 대한 지지율이 거의 한 40% 이상 다운돼 있고 당 지지자들의 지지도도 많이 내려갔다”고 했다.

비윤석열(비윤)계에서도 어대한 주장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날 당대표 불출마 의사를 밝힌 안철수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서 “선거는 뚜껑 열어봐야 된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지난 총선 참패를 했고 (한 전 위원장이) 전체를 지휘를 했지 않았나. 거기에 대한 성찰의 결과를 말씀을 해 주셔야 된다”고 했다.

당대표 출마 가능성이 있는 나경원 의원도 전날 CBS 라디오에서 ‘어대한’이란 말을 두고 “잘 모르겠다”며 견제구를 날렸다. 그는 “저한테도 출마 권유를 하시는 분들이 계시니까 또 꼭 그렇게만 생각하시는 분들만 있지는 않겠다는 생각을 해본다”고 했다. 나 의원 측은 이날 당대표 출마 결심 보도가 나오자 “결정된 바가 없다”며 “마지막 고민의 시간을 갖고 있다”고 했다.

윤상현 의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당권·대권 분리를 규정한 당헌·당규를 들며 한 전 위원장이 당대표 출마 전 차기 대권 도전 여부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당은 대선 1년 6개월 전부터 당권·대권을 분리하도록 돼 있는데 당 대표 임기는 2026년 지방선거 직후까지”라며 “2027년 대통령 선거에는 나가지 않고 임기를 채울 생각인가. 아니면 대선 1년 6개월 남은 시점에 당 대표 그만둘 생각인가. 대표가 돼서 당헌을 바꾸실 생각인가”라고 했다.

친윤계가 한 전 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해 그와 겨룰 만한 당대표 후보를 물색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친한동훈(친한)계와 비한동훈(비한)계의 대결 구도를 부각해 친한 외의 세력을 비한으로 결집하려 한다는 해석도 있다. 친윤계 지원 후보로는 나경원·윤상현·김재섭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거론된다. 한 전 위원장이 당대표가 될 상황을 염두에 두고 친윤계가 최고위원을 내세워 당 운영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 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나 의원은 전날 CBS 라디오에서 “친윤계 지지든 비윤계 지지든 반윤계 지지든 표를 얻으려 만약에 출마를 하면 어떤 표든 마다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앞서 윤 의원도 지난 14일 기자들과 만나 “친윤 타도에 반대한다. 친윤, 비윤, 반윤 모두 함께 가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같이 가야 하는 대상”이라고 했다. 반면 김 의원은 “어처구니가 없다”며 친윤계 지원설을 부인했고, 원 전 장관 측은 최근 통화에서 “전당대회 출마를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