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특검법’ 청문회 증인들의 ‘수난’...줄줄이 10분간 퇴장 명령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비서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등이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묵념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21일 국회에서 열린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외압 의혹에 관한 특별검사법’(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에서는 야당 의원들과 주요 증인들간의 치열한 신경전이 전개됐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일부 증인들은 호통과 함께 퇴장 조치를 당하기도 했다.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은 이날 법사위가 개최한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에서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 등 주요 증인들이 묵비권을 행사하거나, 말하는 중 끼어든다는 이유로 일시 퇴장시켰다.

가장 먼저 퇴장 조치가 내려진 이는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이었다. 전현희 민주당 의원은 이날 이 전 비서관에게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에게) 전화했을 때 대통령 지시로 전화를 한 건가, 본인의 판단으로 전화를 한 건가”라고 묻자 이 전 비서관은 “수사 중인 상황에 대해 제가 답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이에 정 위원장은 “계속 그렇게 말하면 퇴장시킨다고 분명히 경고했다”며 이 전 비서관에게 10분간 퇴장 조치를 내렸다. 앞서 이 전 비서관은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과의 통화에선 어떤 이야기를 나눴나”라고 묻는 이건태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묵비권으로 일관해 정 위원장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정 위원장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도 퇴장 조치했다. 그는 임 전 사단장이 현장지휘권이 없는데도 실종사고를 보고 받은 사실을 거론하며 “지휘권이 본인에게 있었다는 점을 방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임 전 사단장은 “방증이 아니다”라고 반박했고, 정 위원장은 “왜 위원장의 생각까지 재단하려고 하나”라며 호통을 쳤다.

임 전 사단장은 “그렇게 느끼셨다면, 사과드린다”라고 말했지만 정 위원장은 반복적인 사과를 요구했다. 임 전 사단장은 같은 말로 총 3차례 사과했고, 정 위원장에 의해 10분간 퇴장당했다.

이 전 장관도 퇴장 조치를 받았다. 정 위원장은 발언권을 얻지 않은 이 전 장관이 재차 발언을 요청하자 “끼어들지 말라고 하지 않았나”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정 위원장은 “본인의 버릇인가. (청문회에서) 답변하고 거꾸로 가고, (서류에) 사인하고 거꾸로 가고”라고 말했다. 이에 이 전 장관이 “위원장님 기회를 주시면 말씀드리겠다”라고 말하자, 정 위원장은 “10분 전에 (발언에) 끼어들지 않겠다고 했는데 끼어들어서 질책하는 것이다. 국회가 우습나”라고 비난했다. 이후에도 이 전 장관이 발언을 요청하자 정 위원장은 퇴장을 명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날 정 위원장 등 야권 법사위원들이 증인들의 방어적인 태도를 허물기 위해 신경전을 벌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주요 증인들을 수시로 퇴장시켜 이들에 대한 질의 기회를 없애고, 청문회 진행의 흐름을 끊은 것은 과도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