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기 아직 안전하지만 바다 통한 오염 피해 가능성”

2011.04.01 21:25
목정민 기자

과학기술한림원 ‘방사능 공포 오해·진실’ 토론회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바다를 통한 방사능 오염 피해가 우려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국민 불안을 불식시키기 위해 정부는 민간인 전문가와 비정부기구(NGO) 인사를 참여시켜 방사능 측정 등에서 신속·정확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한림원)은 1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방사능 공포, 오해와 진실’이라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어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한국 대기는 방사성물질로부터 안전하지만 국민의 불안감이 높다”며 “오해를 없애기 위해 정부와 과학자들이 신속·정확히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명철 서울대 원자핵의학과 교수, 임상무 한국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장, 정용승 고려대기환경연구소 소장, 이은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이동명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능탐지분석실장,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사고지역 근해에 살던 어종이 동해·남해로 이동해올 경우 우리나라 해역에도 방사성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31일 정부는 해양생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주 1회로 강화한다고 발표했으나 플루토늄은 검사 항목에서 제외했다.

해수로 인한 방사성물질 유입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은철 교수는 “후쿠시마에서 극소량 검출된 플루토늄이 바다로 흘러들 가능성이 있고, 원전 폐냉각수의 사후처리 정보가 없어 바다 유입이 의심되는 상태”라며 “우리나라도 핵폐기물의 해양환경 오염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재학 부장은 그러나 “해수는 이동속도가 초속 1m로 아주 느리기 때문에 원전 사고 근해 바닷물이 동해로 흘러들어오려면 약 1년이 걸릴 것”이라며 “그 사이 방사성물질이 희석돼 시민 건강에는 이상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플루토늄의 위해성과 관련해서는 견해가 엇갈렸다. 먼저 플루토늄은 세포 투과 강도가 약해 액체 상태로 위장에 들어가더라도 인체에 해를 입히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반면 1~2주 뒤 후쿠시마 원전에서 냉각수를 수월하게 넣기 위해 압력용기 내부의 증기를 빼내는 작업을 할 경우 고농도의 방사성물질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림원은 성명서에서 “방사능 확산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을 불식시킬 1차적 책임은 정부에 있다”며 “정부는 방사능에 관한 모든 측정 자료를 숨김없이 신속·정확하게 공표해 불필요한 오해와 혼란을 초래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또 이를 위해 방사능 측정·평가·공표 등 모든 과정에 민간인 전문가와 관련 NGO 인사 등을 참여시킬 것을 제안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