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국방부, 지뢰 찾는 인공지능 개발한다

2021.11.16 14:30 입력 2021.11.16 14:31 수정

2019년 5월28일 강원 철원군 민통선 내 남측 지역인 화살머리고지일대에서 남북공동유해발굴 T/F 장병들이 지뢰제거를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2019년 5월28일 강원 철원군 민통선 내 남측 지역인 화살머리고지일대에서 남북공동유해발굴 T/F 장병들이 지뢰제거를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앞으로 국내 지뢰 제거 작전에 인공지능(AI) 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방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지뢰를 탐지하는 AI를 개발하기 위한 총 면적 314㎡ 규모의 실증 실험실을 전남 장성군 육군공병학교에 열었다고 16일 밝혔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한 지뢰 불발탄 피해자는 올해 8월까지 6400여명에 이른다. 철원 등 접경지역에선 집중호우 이후 유실된 지뢰 때문에 폭발사고 가능성이 늘 제기된다. 하지만 지뢰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는 일은 쉽지 않다. 현재 사용 중인 금속탐지기는 플라스틱 지뢰나 목함 지뢰 같은 비금속 지뢰를 잡아내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방부는 지난해 ‘지표투과 레이더(GPR)’를 도입했다. GPR은 초광대역 전자기파로 지표면과 지하 매설물, 광물, 유적 등을 조사할 때 쓰는 장비다. 그런데 GPR은 지하 신호나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인력의 숙련도에 따라 탐지 정확성에 큰 차이가 난다.

앞으로 과기정통부와 국방부는 군이 보유한 지뢰 위치와 GPR 신호 같은 데이터를 AI로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뢰의 재질이나 인력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뢰를 찾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술에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모두 67억2000만원이 투입된다. 송규철 과기정통부 디지털인재양성팀장은 “지뢰 탐지를 위한 AI 기술은 상하수도 등 지하 시설물 점검과 폭발물 확인, 싱크홀 발견 등에도 쓸 수 있다”며 “이 사업을 통해 국내 기업의 기술력을 높이고 군 장병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