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 하락 막으려면 10년간 추가인력 90만명 필요”

2024.03.19 14:50 입력 2024.03.19 16:38 수정

“경제성장 하락 막으려면 10년간 추가인력 90만명 필요”

저출생·고령화 영향으로 2028년부터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가 모두 감소세로 전환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경제성장 하락을 막기 위해선 2032년까지 90만명가량의 인력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장기(2022∼2032년) 인력수급 전망 및 추가 필요인력 전망’을 19일 발표했다.

고용정보원은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2022년부터 2032년까지 31만6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전 10년간(2012∼2022년) 증가 폭(314만명)의 10분의 1 수준이다. 시기별로 보면 전기(2022~2027년)는 56만4000명 증가한다. 하지만 2027년을 정점으로 감소로 전환해 후기(2027~2032년)는 24만8000명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활동참가율은 2025년까지는 상승하지만 경제활동참가 성향이 낮은 고령인구 비중이 늘면서 2026년부터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취업자 수는 2022년부터 2032년까지 30만9000명 증가할 것으로 본다. 이전 10년간 증가 폭(313만명)의 10분의 1 수준이다. 시기별로 보면 2027년까지는 증가를 지속하다 2028년부터는 공급 제약의 영향으로 감소로 전환한다.

산업별로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취업자가 가장 많이 증가할 전망했다. 이에 반해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산업구조 전환 영향으로 도·소매업, 제조업은 감소할 것으로 봤다.

직업별로는 고숙련 수요 증가·산업구조의 서비스화로 전문가, 서비스직에서 취업자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온라인화·자동화 등 기술변화로 판매직,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직, 기능원 등은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고용정보원은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뿐 아니라 경제성장 하락을 막기 위해 노동시장에 추가로 유입돼야 할 필요 인력 규모를 처음으로 계산했다.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2.1~1.9%) 달성을 위해 2032년까지 추가로 필요한 인력 규모는 89만4000명이다.

고용정보원은 “2025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고 2028년에는 노동력 공급 감소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감소한다. 전망 후기(2027~2032년)에 추가 필요인력이 급증하는 등 중대한 전환기에 직면한 만큼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고용정보원은 청년·여성·고령자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 경제활동 잠재인력의 업종·직종별 정밀한 수요 예측을 통한 공급 확충, 숙련도 제고 등을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