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 한 줄 5000원, 서민 음식 맞나”…체감 안 되는 물가 둔화

2024.05.06 20:39

4월 소비자물가 2%대로 내렸지만 외식물가 상승률은 3.0%

35개월째 전체 평균 상회…농산물값 급등에 생활물가 ‘껑충’

외식·식품 업계도 줄인상…지표·체감상 괴리감 점점 커져

<b>너무 올랐네…</b> 서울 중구 명동거리의 한 음식점에 메뉴 가격 안내판이 설치돼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외식물가 상승률은 3.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9%)보다 0.1%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외식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돈 현상은 35개월째 이어졌다. 문재원 기자

너무 올랐네… 서울 중구 명동거리의 한 음식점에 메뉴 가격 안내판이 설치돼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외식물가 상승률은 3.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9%)보다 0.1%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외식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돈 현상은 35개월째 이어졌다. 문재원 기자

어린이날인 지난 5일 남편, 아이와 함께 모처럼 나들이에 나선 임모씨(42)는 식당 가격표를 보고 마음이 무거워졌다. “점심은 가볍게 먹자”며 들른 분식집 메뉴판에는 ‘기본 김밥 한 줄 5000원’ ‘칼국수 1만원’이라고 적혀 있었다. 임씨는 “김밥 가격이 올랐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한 줄에 5000원까지 할 줄은 생각하지 못했다”고 했다. 오후에 서울시내 이곳저곳을 둘러본 후 저녁을 먹으러 들른 중식집에선 탕수육(소)과 오리 요리, 게살볶음밥 등 메뉴 3개를 시키니 10만원이 나왔다. 임씨는 “대체공휴일인 6일엔 치킨을 시키려고 했다가 그냥 집밥 먹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민 체감도가 높은 외식물가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 달 만에 2%대로 내려왔지만, 외식물가는 3년째 전체 평균을 상회하며 지표와 체감상 괴리감을 키우고 있다.

“김밥 한 줄 5000원, 서민 음식 맞나”…체감 안 되는 물가 둔화

6일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외식물가 상승률은 3.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9%)보다 0.1%포인트 높다. 외식물가 상승률은 2021년 6월부터 35개월째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고 있다.

지난달 외식물가 상승률을 품목별로 보면, 전체 39개 중 절반 정도인 19개가 평균보다 높았다. 떡볶이가 5.9%로 가장 높고 비빔밥(5.3%), 김밥(5.3%), 햄버거(5.0%) 등 순이다.

다만 올 들어 외식물가 상승률은 전체 평균과 0.1%포인트까지 격차를 좁히며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4.3%, 2월 3.8%, 3월 3.4%, 4월 3.0% 등이다. 이 추세라면 5월엔 전체 평균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흐름은 실제 체감지수와 차이가 크다. 소비자의 구매 빈도가 높은 144개 항목으로 구성돼 체감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는 지난달 3.5% 올랐다. 주요 품목인 사과(80.8%)와 배(102.9%), 토마토(39.0%), 배추(32.1%) 등 과일과 채소는 많게는 2배가량 뛰었다. 과일과 채소의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줄곧 20%대를 유지했고, 올 들어서는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농산물 가격 상승 영향으로 햄버거와 치킨, 김밥 등 외식·식품 업계도 가격을 줄줄이 올리고 있다. 맥도날드는 지난 2일 빅맥 세트 가격을 6900원에서 7200원으로 300원 올리는 등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인상했다. 피자헛도 프리미엄 메뉴 2종 가격을 약 3%씩 상향 조정했다.

김가네김밥과 바르다김선생 등 김밥 프랜차이즈도 김밥 가격을 100~1000원 인상했다. 롯데웰푸드는 다음달 가나초콜릿과 빼빼로 등 17종 제품 가격을 올릴 예정이다.

정부는 2%대 물가 진입을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농산물 가격 상승세가 여전하다는 점에서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지난 3일 대통령실 주도로 민생물가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키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식품·외식 업계 대표들을 만나 가격 동결 또는 인하를 요청했다.

문제는 물가지표와 체감물가 간 괴리감은 갈수록 커지는 데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지표만 놓고 보면 물가 상승률이 3%대에서 2%대로 둔화해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한 줄에 3000원이던 김밥을 이젠 4000원, 5000원에 사 먹어야 하는 사람들 입장에선 전혀 그렇지 않을 것”이라며 “체감하는 물가 수준이 훨씬 높기 때문에 인식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