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커버그 집에 홀로 찾아간 이재용…메타·아마존·퀄컴 CEO와 연쇄 회동 “AI 협력 확대”

2024.06.13 17:00 입력 김상범 기자

11일(현지시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 서부 팔로 알토에 위치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자택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미국을 방문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메타·아마존·퀄컴 등 글로벌 빅테크 수장들을 잇달아 만나 인공지능(AI)과 반도체·스마트폰·통신·증강현실 등 광범위한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삼성전자가 최근 마주한 각종 위기 상황을 돌파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13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재용 회장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 위치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의 자택에서 단독 미팅을 가졌다. 지난 2월 저커버그 CEO 방한 이후 4개월 만에 다시 만난 것으로, 두 사람은 AI와 가상현실·증강현실 등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메타는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의 잠재 고객사다.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 ‘라마’를 훈련시키는 용도로 지난해 AI 반도체 ‘MTIA’를 처음 선보였다. 대만 파운드리 TSMC가 MTIA를 생산하고 있는데 업계에서는 메타가 이 물량 일부를 삼성전자로 돌릴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저커버그 CEO는 지난 2월 방한 당시 “삼성은 파운드리 거대 기업으로 글로벌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며 “중요한 협력 포인트가 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메타와의 AI 분야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튿날인 12일 이 회장은 시애틀 아마존 본사에서 앤디 재시 아마존 CEO를 만났다. 두 사람은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대한 전망을 공유하며 추가 협력을 논의했다. 아마존은 계열사 아마존웹서비스(AWS)의 클라우드 사업에 AI 서비스를 접목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자체 AI 반도체 ‘트레이니움’을 만들어 쓰고 있으며, 여기에는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가 탑재된다.

이 회장은 지난 10일에는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도 만나 AI 반도체와 차세대 통신칩 등의 협력을 논의했다. 스마트폰의 두뇌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엑시노스’와 퀄컴의 ‘스냅드래곤’은 경쟁 관계다. 하지만 동시에 삼성전자는 갤럭시 스마트폰에 꾸준히 스냅드래곤을 탑재해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AI PC 분야에서도 손잡는 등 접촉면이 늘고 있다. 이 회장은 퀄컴뿐만 아니라 다른 미국의 팹리스(생산라인 없는 반도체 설계사) 기업들과도 만나 파운드리 사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사업에서 과거 ‘초격차’로 대변되던 경쟁력을 잃었다는 안팎의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회장의 미국 출장은 메모리·파운드리 사업에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지난달 31일 출국해 2주간의 일정을 마무리한 이 회장은 임원들에게 “삼성의 강점을 살려 삼성답게 미래를 개척하자”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달 말 주요 경영진이 참여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 예정이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