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자외선 쬐면, 기억력 떨어져

2024.06.27 21:10 입력 2024.06.27 21:15 수정 김태훈 기자

서울대 연구팀, 생쥐 실험 …뇌·신경 전달 물질에 영향

피부에 닿는 자외선이 기억력 등 뇌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서울대병원 피부과와 서울대 의과대학 공동연구팀이 생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국제학술지 ‘실험분자의학’에 게재했다고 27일 소개했다.

피부는 독립적으로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을 만들어내고 조절하는 기관으로 ‘제3의 뇌’라 불리기도 한다. 특히 자외선에 반응한 피부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을 생성해 신경세포 사이의 정보를 전달하며 뇌의 다양한 기능에 영향을 준다. 연구진은 학습과 운동, 행복은 물론 기억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변화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와 어떤 상호작용을 거쳐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입증하고자 했다.

연구진은 생쥐 피부에 6주 동안 총 18회에 걸쳐 자외선을 쪼인 후 뇌의 기억 형성을 비롯해 ‘시냅스 가소성’이라 불리는 신경세포 사이의 결합 및 신호 전달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장기적인 자외선 노출은 신경 발생과 시냅스 가소성을 악화시키고 기억력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력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피부와 부신, 뇌의 도파민 수치가 증가했고 이에 따라 도파민 신경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가 발현하는 과정에 변화가 일어났다.

실험에서 자외선에 노출된 생쥐는 새로운 물체와 위치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미로 속에서 기억능력을 평가했을 때에도 공간·작업기억 능력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에 닿는 만성적인 자외선 노출이 피부를 포함한 말초기관은 물론 중추신경계에서도 도파민 수준을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인 해마를 비롯해 신경계 전반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관련 약제 개발 가능성도 높일 것으로 봤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