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무상복지가 생활물가 낮췄다

2015.03.01 22:36 입력 2015.03.01 23:53 수정 조미덥 기자

2010~2014년 물가 비교해보니

급식·보육 관련 가계 지출 급감

4년간 물가상승률 1.51%P 낮춰

서울 양천구에 사는 임모씨(33)는 28개월 된 아들의 어린이집 보육료로 34만7000원을 매달 정부에서 지원받고 있다. 남편과 맞벌이로 한 달에 400만원가량을 벌지만 매달 갚아야 하는 전세 대출 원리금과 보험료·아파트 관리비, 약간의 저축 등 기본적으로 나가는 돈을 제외하면 생활비로 100만원 정도만 남는다. 임씨는 “그나마 어린이집 비용 부담을 덜어서 저축을 할 수 있었다”며 “그 돈을 우리가 내야 한다면 둘째를 가질 생각은 하지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학생 아들과 초등학생 딸을 둔 홍모씨(38·경기 하남시)는 “3년 전부터 학교급식비가 없어져 살림에 숨통이 트였다”고 말했다. 그는 “두 아이를 키우며 국어, 영어, 수학 등 주요 과목만 학원에 보내도 한 달에 100만원 정도 드는데, 둘의 급식비로 매달 15만원 가까이 아낄 수 있어 다행”이라고 했다.

무상급식과 무상보육으로 대표되는 무상복지가 국민의 생활물가 안정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경향신문이 통계청에 의뢰해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생활물가지수는 2010년에 비해 7.82% 상승했다. 무상급식과 무상보육이 실시되지 않았다면 상승률은 9.33%(추계)로 지금보다 1.51%포인트 높았을 것으로 보인다. 생활물가지수는 식료품과 교육, 주거비 등 142개의 생활필수 품목에서 국민들이 체감하는 가격 부담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항목별로는 무상급식의 영향으로 학교급식비 부담이 4년 새 전국 평균 42% 하락했고, 무상보육에 해당하는 유치원 납입금과 보육시설 이용료 부담이 각각 28%, 42% 줄었다. 2011년 이후 무상급식과 무상보육이 지방자치단체별로 확산되면서 가계 부담이 대폭 줄어든 것이다. 같은 기간 학원비(15~20%)와 식료품(10%), 전·월셋값(11%) 등이 두 자릿수 비율로 상승한 것과 대비된다.

무상급식 실시로 학교급식비 부담이 낮아지면서 생활물가지수는 0.61%포인트가 덜 올랐다. 무상보육은 생활물가지수를 0.9%포인트 떨어뜨리는 효과를 냈다.

자치단체별로도 무상복지가 생활물가를 낮춘 효과는 드러난다. 경기와 강원, 충남, 대전, 제주 등 무상급식과 무상보육이 잘 정착한 지역은 4년 동안 생활물가 상승률이 6%대 후반~7%대 초반으로 안정됐다. 반면 전국에서 무상급식 보급률이 가장 낮은 대구와 울산은 생활물가가 각각 9.44%와 8.63% 올랐다. 전국 16개 시·도 중 상승률 2위와 4위에 해당한다. 다른 지역에서 가계의 학교급식비 부담이 작아질 때 두 도시에서만 각각 16%, 14% 커졌다.

최근 지자체별로 복지예산을 둘러싼 공방이 이어지면서 무상급식과 무상보육으로 인한 물가안정 효과가 지속될지는 불투명하다. 경남도와 시·군은 오는 4월부터 무상급식 지원을 중단키로 했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