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오미크론 마지막 고비…방역, 유연해져야”

2022.01.12 21:02

‘오미크론 대응’ 기자회견

국내 환자 40명 임상 결과

절반 ‘무증상’·중증 드물어

전파 방지에 초점 둔 방역

피해 최소화로 옮겨가야

미국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티 타워 극장에서 11일(현지시간) 한 여성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티 타워 극장에서 11일(현지시간) 한 여성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의 절반가량은 증상이 없었고, 폐렴 등 중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크론 대유행은 설연휴 전에 시작돼 두 달 안에 끝날 것으로 관측됐다. 국내에선 처음 나온 오미크론 감염자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한 결과다. 다만 하루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가 역대 최다를 기록하고 90% 가까이가 오미크론으로 확인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급속 확산세다. 전파력이 강한 만큼 수많은 경증 환자를 동네 민간의원이 맡는 등 의료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주문도 뒤따랐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은 12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오미크론 유행,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주제로 연 기자회견에서 “오미크론이 이번 팬데믹(세계적 유행)에서 넘어야 할 마지막 고비가 될 것이며, 2개월이 채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오미크론 대유행 고비를 넘으려면 ‘엄격한 K방역’을 상황에 따라 ‘유연한 K방역’으로 바꾸고 코로나19도 기존 의료체계에 편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 위원장은 오미크론 확진자 임상 결과를 근거로 들어 “기존 바이러스는 폐렴을 잘 일으키는데 오미크론은 잘 일으키지 못한다”고 했다. 중앙의료원 감염병임상연구센터가 지난달 4~17일 오미크론 확진자 40명을 관찰·분석한 결과, 47.5%는 아무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나머지 확진자들에게 나타난 인후통·두통·발열·기침·가래 등 증상을 두고 연구진은 “전반적으로 약한 감기 증상”이라고 했다. 15%만이 약한 폐렴 증상을 보였다. 앞선 해외 임상 결과에서도 오미크론 확진자 중증도는 낮았다.

민간·공공 분리된 진료로
밀려들 확진자 감당 못해
2~3일에 2배씩 증가 예상
1차 진료는 ‘동네 의원’에

다만 전파력은 다른 변이보다 훨씬 강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국내 확진 사례 중 오미크론 검출률은 12월 다섯째주 4.0%에서 1월 첫째주 12.5%로 상승했다. 오 위원장은 “오미크론 유행이 시작되면 환자 수는 2~3일에 2배씩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정부가 방역·의료체계 개편을 준비하는 배경이다.

오 위원장은 “이제는 전파 방지가 아니라 피해 최소화와 사회기능 유지에 초점을 둬야 한다”며 “확진자 1차 진료를 동네 의원이 맡아야 한다. ‘민간은 비코로나-공공은 코로나’ 진료란 이분법으로는 밀려들 확진자를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오미크론이 유행하면 확진자가 격리병실이 아니라 일반병실에서 진료를 받거나, 필요한 경우 의료인을 대거 확충하는 경우가 생길 것이란 설명이다. 유전자증폭(PCR) 검사 수요를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로 돌리는 일도 과제로 꼽히며, 실제 정부가 검토 중이다. 오 위원장은 오미크론 유행은 델타 등 다른 변이 때와 확연히 다르다는 취지에서 “코로나22”라고 표현했다.

정부가 의료체계 개편 등 대비만 잘한다면 대유행을 끝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기현 중앙의료원장은 “오미크론의 강을 건너면 코로나의 끝자락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코로나의 박멸·종식이 아니라 지금과 같은 비상대응의 끝”이라고 말했다. 다만 오 위원장은 “지금이라도 고령층과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백신 접종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쓰나미처럼 몰려올 오미크론에 감염되고 매우 위험하게 될 수 있다”고 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4388명 중 해외유입은 381명으로 역대 최다였다. 88%는 오미크론 감염자다. 지난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 참석자 중 70여명이 확진됐다. 정부는 CES 참석자 중 격리 면제자에 대해 재택근무 권고 기간을 기존 3일에서 10일로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다음달 3일까지 시행 예정인 ‘입국자 10일 격리’ 조치는 연장될 가능성이 크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