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굴기의 꽃산 꽃글

대팻집나무

2018.03.26 21:03 입력 이굴기 | 궁리출판 대표

입춘이 入春이 아니라 立春이라는 걸 안 건 나이가 제법 들어서였다. 세계의 중심은 인간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고 하면 너무 거창한 이야기인가. 함부로 까불지 말아야겠구나 하는 생각은 덤으로 했다. 하지만 생각은 또 생각으로 그치고 말았다. 쓴맛이 좋아지고 나서부터 봄에 대해 매해 다르게 보려고 한다. 봄을 골똘히 본다. 무덤의 상석 같은 미음(ㅁ)에 사다리 같은 비읍(ㅂ). 그 사이를 연약한 풀 한 포기가 연결해 주는 한 글자가 아닌가. 무술년 봄에 대한 생각이다.

낮의 길이가 밤의 그것을 추월하는 춘분인 그제 눈이 왔다. 그 지독했던 추위도 이제 끝났군! 성급하게 짐작했던 사람들의 정문에 일침을 놓은 셈이다. 그리 놀랄 일은 아니었다. 몇 해 전에는 4월에도 눈이 왔었다. 그때 나는 전북 순창의 회문산 능선을 걷고 있었다. 꽃샘추위 속에서 얼음을 잔뜩 달고 있는 대팻집나무를 만났다. 대패의 자루인 대팻집을 만드는 데 쓰이는 나무라고 해서 그 이름을 얻은 나무이다. 대팻집나무는 모든 나무들이 나이테를 몸 안에 품듯 해마다 자란 표시를 가지 끝에 스스로 기록해 둔다. 이 나무의 특징인 이른바 단지(短枝)라는 것이다. 나무의 조직이 단단하고 치밀한 비밀은 단지에 숨어 있는 게 아닐까.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처럼 이 단지의 꼿꼿함 속에 들어 있는 게 아닐까.

대팻집나무를 다시 가만히 본다. 대패는 많은 것들을 싸고 있는 보따리 같은 단어이기에 대팻집나무 앞에 서면 그냥 지나칠 수가 없게 된다. 가지마다 엄지손가락처럼 단지를 치켜세우고 있는 대팻집나무. 그 둘레마다 돌반지, 결혼반지처럼 작은 홈들이 차곡차곡 끼워져 있다. 그것은 혹은 꼬부라지고, 혹은 비뚜름하고, 혹은 엇비슥하게, 그 어디로 나아가는 듯하다. 경복궁의 날렵한 처마 끝을 걷고 있는 잡상(雜像)들 같기도 하다. 점심 때 와서는 저녁이 되기도 전에 홀연히 사라진 뜻밖의 눈을 보면서 낭창낭창 공중 난간을 밟으며 어디론가 가고 있는 대팻집나무의 단지들을 떠올렸다. 대팻집나무, 감탕나무과의 낙엽교목.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