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자연사박물관 우린 왜 없지

2008년 봄에 충격과 놀람, 부러움과 좌절을 함께 맛보는 경험을 했다. 뉴욕 센트럴파크 옆에 있는 미국자연사박물관. 지하 1개 층, 지상 4개 층에 45개의 상설전시실을 갖춘 박물관의 총건축면적은 19만㎡에 달한다. 크기야 땅 넓은 미국이니 그렇다 쳐도, 입구에서부터 어마어마한 크기의 실물 공룡 뼈대를 보는데 고개를 뒤로 잔뜩 꺾어야만 가능했다. 압도된다는 게 무엇인지 나의 벌어진 입과 동공이 가르쳐주었다. 전직 과학교사 출신 은발의 자원봉사자가 안내하는 전시 내용은 끝이 안 보였고, 자료의 수준이 기가 막혔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 하염없이 미끄럼이나 타던 우리 아이와, 넓디넓은 보물창고에서 탐구 중인 아이들의 얼굴이 겹쳐지면서 왈칵 우울했다.

이미경 환경재단 대표

이미경 환경재단 대표

<박물관은 살아있다>는 영화로 잘 알려진 미국자연사박물관은 무려 1869년 4월6일 설립되었다. 미국 제26대 루스벨트 대통령의 부친인 루스벨트 시니어와 금융가 J P 모건 등 20인이 함께 자연과학의 연구·지식 보급과 진보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통상 자연사박물관엔 공룡뼈 화석과 동물 박제, 곤충 표본들만 있을 것 같지만, 식물, 지질, 인류, 천문, 어류, 무척추동물, 포유류, 곤충, 파충류, 조류, 고생물 표본 및 민속품 그리고 관련 서적들과 영상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학문과 관련된 기초자료와 기록이 꾸준히 업데이트되기에 자연사박물관이 있다는 것만으로 해당 국가가 기초과학과 탐험, 기록 분야에 돈과 시간, 인적자원을 얼마나 투자해왔는지 알 수 있다. 특히 21세기에 들어서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를 중요한 주제로 삼는 박물관이 늘고 있다.

2008년에 뉴욕을 방문한 이유도 미국자연사박물관에서 12개 국가와 동시에 기후변화 특별전을 기획하는데, 환경재단이 우리나라 주최사로 선정되어 현장 방문 겸 계약서를 쓰기 위한 것이었다. 그때 처음으로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국립자연사박물관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09년 6월 국립과학관에서 미국과 똑같은 전시물로 1322㎡ 전시장을 꾸몄고 환경재단이 우리 현실을 반영한 콘텐츠로 2600㎡ 공간을 구성하여 12개 국가에서 동시에 기후변화 체험전을 열었다. 석 달 만에 30여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간, 그해 최고의 전시라는 평가를 받았다. 기쁘기도 했지만, 미국자연사박물관의 배꼽만 한 전시물에 보여준 환호가 우리의 지적인 갈증을 방증하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

십수년이 지난 지금 많은 지자체들이 다양한 전시관을 짓거나 운영하고 있고, 건물에는 선뜻 큰 투자를 하고 있다. 자연사박물관 없다고 나라에 큰일이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뿌리 없이 솟아나는 열매는 없는 법. 저 어마어마한 자연과 문명의 총합을 보고 배운 아이들과 낡은 교과서로 자란 아이들이 같을 리 없다. 그래서 급한 김에 세계 3대 자연사박물관 중 하나인 ‘런던자연사박물관’의 기후변화 전시를 2023년에 국내 유치할 계획이다. 신년엔 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국립자연사박물관 추진위원회’라도 발족하면 좋겠다. 언제고 어지러운 세파를 이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람을 기르는 일이니까.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