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퇴장’이냐 ‘일보후퇴’ 미래 기약이냐… 손학규로 본 거물들의 ‘정계은퇴’ 정치학

2014.08.01 22:30 입력 구교형 기자

선거 직후·출마 문턱서 선택

정치권 호출 때 ‘복귀’ 적잖아

이원종 등 ‘아름다운 용퇴’도

새정치민주연합 손학규 상임고문이 7·30 재·보궐선거에서 낙선한 후 정계(政界)를 떠났다. 그는 “정치인은 들고날 때가 분명해야 한다”며 자신의 정계은퇴는 순리라고 밝혔다.

손 고문 이전에도 유력 정치인들이 선거 직후 또는 출마 문턱에서 은퇴를 선언한 일이 적지 않다. 유권자의 선택을 받지 못했으니 그 뜻을 존중해 정계를 떠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때로는 선거 승패와 무관하게 사법심판을 앞두고 백기를 드는 경우도 있었다. 어느 쪽이든 은퇴가 곧바로 영원한 퇴장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정치권에선 은퇴선언이 미래를 기약하기 위한 일보후퇴 방편이 된 사례도 적지 않다.

거물들은 대부분 중요한 선거에서 패했을 때 정계은퇴를 선언한다. 1992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2002년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잇단 대선 패배 책임을 지고 은퇴 의사를 밝혔다.

새정치연합 김한길 전 대표는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대선에서 지자 “참패 이후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며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홍준표 경남지사는 19대 총선에서 낙선한 뒤 “30년 공직생활을 마감한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출마 문턱에서 은퇴를 결심하는 일도 왕왕 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17대 총선을 앞에 두고 한나라당 내 5·6공 출신들의 정계 은퇴를 압박하다 여의치 않자 “살신성인의 선례를 남긴다”며 먼저 출마를 포기했다.

19대 총선에서 서울 중구 국회의원 후보로 나선 7선의 자유선진당 조순형 전 의원은 선거가 자신을 뺀 양자구도로 흘러가자 “초야로 돌아가겠다”며 30년 정치인생을 한 방에 마감했다.

선거 직후나 출마 문턱에서 은퇴한 이들은 ‘정치권 호출’을 근거로 다시 정계로 복귀한 사례가 많다. 1992년 대선 패배 후 2년여간 칩거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95년 지방선거 때부터 정치행보를 개시했다. 이후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해 1997년 대선에서 승리했다.

이회창 전 총재도 다음 대선에서 정치권으로 돌아왔다. 김한길 전 대표나 오세훈 전 시장도 ‘정치적 휴지기’를 가진 뒤 다시 정계에 복귀한 경우다. 이들에게 은퇴는 물론 복귀 명분도 유권자와 국민의 뜻이었다.

손 고문 역시 “시민으로 돌아가겠다”고 밝혔지만 2017년 대선을 앞두고 야권의 부름이 있으면 결정을 번복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는 것은 이런 사례들 탓이다.

검찰·법원 조사를 받다가 정치인생을 마감한 사례도 있다. 신한국당 강삼재 전 사무총장은 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 예산을 선거자금으로 전용했다는 이른바 ‘안풍사건’으로 1심에서 유죄가 선고되자 의원직을 사퇴했다.

민주당 이광재 전 의원은 ‘박연차 사건’에 연루돼 불려간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에서 “불구속 수사를 바라며 향후 재판에 성실히 임하겠다”면서 의원직 사퇴서를 들고 나왔다. 이명박 전 대통령 친형인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은 검찰 수사망이 서서히 좁혀오자 총선 불출마와 함께 은퇴를 선언했다.

외생변수 없이 정치인이 아닌 다른 삶을 선택하는 그야말로 ‘아름다운 퇴장’을 선택한 이들도 있다. 2006년 3선이 유력시됐던 이원종 전 충북지사는 “꿈꾸고 계획했던 일들을 거의 다 이뤘다”며 스스로 물러났다.

‘원조보수’로 불리는 김용갑 전 한나라당 의원 역시 “3선 의원이면 국회의원으로선 환갑”이란 말을 남기고 정계를 떠났다. 이들의 경우에는 정치권으로 다시 돌아올 확률이 ‘0’에 가까웠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