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 해킹이 북 소행?… 미국서도 논란

2015.01.04 21:51 입력 2015.01.04 21:56 수정

미 정부 “FBI 등 기밀 정보”

구체 증거 없이 단정적 결론

전문가 “내부 소행 가능성”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소니픽처스 해킹 사건에 대한 보복 조치로 북한 정찰총국 등을 제재 대상에 올렸지만 미국 내에서는 여전히 해킹이 북한 소행인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많은 사이버 안보 전문가들은 소니의 전직 직원을 포함해 해커들이 소니 해킹을 저질렀을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며 미 연방수사국(FBI)의 단정적 결론을 납득하지 못한다. 해커들의 세계에서 북한발 인터넷주소(IP)와 북한이 즐겨 썼다는 악성 소프트웨어는 얼마든지 꾸며낼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 소행 결론에 대한 의문이 계속 제기되자 미국 정부는 “민간 전문가들이 갖지 못한 기밀 정보가 있다”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백악관 관계자는 익명 인용을 전제로 한 전화 회견에서 “우리의 정보 판단은 FBI를 포함해 정보당국, 국토안보부 등과 해외 우방들, 민간전문가들의 평가까지 포괄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어떤 정보 때문에 북한으로 확신하게 됐는지 밝히지는 않았다.

미국 정부가 북한 소행임을 확신하게 된 정보들 중에는 북한에 대한 도·감청 정보가 있다고 워싱턴의 한 소식통이 말했다. 그는 “FBI가 한국 정보기관 등과 정보협조를 통해 얻은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이 같은 설명에도 전문가들은 여전히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컴퓨터범죄 담당 검사 출신인 피터 토런은 “북한이 과거에 했던 것과 유사하다는 이유만으로 나를 설득시키지 못한다. FBI가 하는 말은 ‘우리가 정부이니 믿어달라’는 얘기밖에 안된다”고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 말했다. 사이버 안보 컨설팅업체인 ‘레드 e디지털’의 랄프 에셴멘디아 대표는 소니 해킹 사건에 대한 미국 정부의 주장은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이라크 침공을 위해 제시한 대량살상무기(WMD) 정보와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정은 암살을 소재로 한 소니의 영화 <인터뷰>는 개봉 나흘 만에 온라인에서 1500만달러, 오프라인 극장에서 38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