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이번 주 팟 캐스트는 지난주에 이어 ‘신라공주와 페르시아 왕자의 사랑과 결혼’을 다룬 이란의 구전 서사시 <쿠쉬나메> 이야기입니다. 굳이 제목을 말한다면 <2000년의 혈맹, 한국과 이란의 끈끈한 인연>입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듣기

여러분들은 이란 하면 무슨 단어가 떠오르십니까.

‘불량국가(rogue state)’, ‘악의 축(axis of evil’)이 아닙니까. 미국은 소련의 붕괴로 동서냉전 체제가 무너지자 이란을 새로운 적으로 규정했죠.

“대량파괴무기를 생산하고, 테러를 지원하는 몹쓸 나라”라는 이유로 말입니다. 미국은 그들이 짠 새로운 국제질서를 거부한 이란과 같은 나라를 타도의 대상으로 삼은 겁니다.

최근 미국-이란 간 핵협상이 사실상 타결됐지만 이란에 대한 이같은 좋지않은 인식은 여전히 유효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우리에게 이란은 ‘불량국가’도 아니요, 더군다나 ‘악의 축’도 아닙니다. 물론 지금 우리 사회에 미국이 끼친 영향이 절대적입니다. 하지만 한국-이란의 관계는 2000년 가까운 질기디 질긴 인연의 끈을 부여잡고 있습니다. 지난 주 대강의 내용을 소개했지만, 최근 이란에서 발굴된 대서사시 <쿠쉬나메>는 1400여 년 전 신라-페르시아의 혈맹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니까요.

사산조 페르시아 왕족의 후예가 신라로 망명한 뒤 신라 공주와 혼인하고, 그 아들이 이란으로 귀국하여 아랍의 폭정자인 자하크를 타도하고 이란의 영웅이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의문점이 생깁니다. 이란에서 구전으로 전해졌다는 이 <쿠쉬나메> 이야기는 마냥 허황된 신화나 전설이었을까요. 한번 예를 들어봅시다. 우리의 단군신화도 역시 신화입니다.

하지만 신화는 역사적으로 입증된 사실만큼이나 엄청난 함의를 담고 있습니다. 게다가 신화를 입증할만한 고고학 자료들도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쿠쉬나메> 이야기는 어떨까요.

지금부터 <쿠쉬나메>의 내용을 문헌기록과 고고학 유물로 비교 검토해보겠습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블로그 내용을 보면서 팟캐스트를 함께 듣는다면 더욱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런 기사 어떠세요?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