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서동(백제 무왕)과 신라 선화공주의 사랑 이야기는 〈삼국유사〉 ‘무왕조’에 등장하는 설화입니다. 서동이 경주 시내에 동요를 퍼뜨려 평소 연모했던 공주를 얻은 뒤 익산에 공주를 위한 절(미륵사)를 지었다는 설화를 의심하는 이들은 없었습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듣기

그런데 2009년 1월 이 철석같은 믿음이 깨졌습니다. 미륵사지 서탑에서 ‘절을 세운 이는 좌평(16관등 중 첫번째) 사택적덕의 딸인 백제왕후’라고 새긴 사리봉안기를 발견한 것입니다. 선화공주가 아닌 사택왕후가 절의 주인공이라면 <삼국유사> 내용은 새빨간 거짓이라는 얘기였습니다. 역사고고학계는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안타깝지만 ‘선화공주=가공인물’임을 인정해야 한다는 소리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미륵사가 3개의 절을 합친 구조라는 점을 착안한 색다른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동·서의 절은 백제 출신인 사택왕후가, 가운데 절은 선화공주가 세웠다는 겁니다. 요컨대 선화공주와 사택왕후는 무왕의 두 부인이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관심의 초점은 지금까지 무왕과 선화공주의 부부묘로 알려진 익산 쌍릉으로 옮겨갔습니다. 이 쌍릉에서 최근 또 한 번 학계를 ‘멘붕’에 빠뜨릴 발굴결과가 나왔습니다. 쌍릉 중에서도 무왕묘로 추정된 대왕묘에서 20~40대 성인 여성의 치아 4점이 확인된 것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이 “정확히 7년 전 ‘가공인물’로 폄훼되어 이미지에 큰 손상을 입었던 선화공주가 부활한 것이 아니냐”며 흥분할 법도 합니다.

그러나 낙관은 금물입니다. 선화공주가 쌍릉 가운데 대왕묘의 주인공이라면 소왕묘에 묻힌 이는 누구입니까. 다시 한 번 치열한 토론의 장터가 열려야 할 것 같습니다. 학계는 애간장이 녹습니다. 선화공주는 허구인가, 실재인가.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가 묻습니다. ‘선화공주님 대체 어디 계십니까.’ 이기환 기자가 예전에 썼던 두 꼭지의 글을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블로그’ 에 참고로 올립니다.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이런 기사 어떠세요?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