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구의 17%는 적자가구...소득 98% 원리금 상환에 지출

2022.05.08 17:49 입력 2022.05.08 18:01 수정

4월18일 서울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4월18일 서울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17%가 소득보다 지출이 큰 ‘적자가구’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적자가구는 소득의 98%를 대출 원리금을 상환하는데 지출했다. 또 상당수는 세입자에게 내 줘야할 전월세보증금이 있었다. 향후 대출금리가 상승하거나 전월세가 하락하면 적자가구는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금융연구원 노형식 연구위원은 8일 ‘가계 재무 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 방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전체 2052만 가구의 17.2%(354만가구)가 적자가구에 해당했다. 적자가구란 소비지출, 금융채무에 대한 원리금, 이자 외 비소비지출이 소득보다 많은 가구를 뜻한다.

354만 적자가구의 연 평균 경상소득은 4600만원이었다. 이 중 원리금 상환액으로 4500만원, 필수 소비지출로 2400만원, 이자 외 비소비지출로 900만원을 썼다. 원리금 상환액이 경상소득의 98%에 달해 적자의 가장 큰 요인으로 꼽혔다.

보고서에서 노 연구원은 금융부채가 소득에 비해 너무 큰 것이 적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이 5배가 넘는 ‘고LTI 가구’의 비중은 흑자가구의 3.6%에 불과했지만, 적자가구에서는 19.3%에 달했다. 적자와 고LTI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노 연구원은 적자가구의 상당수가 전월세 보증금(부채)이 있다며 전세금이 떨어질 경우의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354만 적자 가구 중 임대보증금(부채)가 있는 가구는 66만 가구(18.6%)로 평균 임대보증금은 2억1000만원에 달했다.

노 연구원은 “적자가구가 세입자로부터 받은 전월세 보증금(부채)로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적자이면서 임대보증금 부채가 있는 가구는 2년 정도에 한 번씩 인상되는 임대보증금 인상분을 수입이라 생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세금이 떨어져 적자가구가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상환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취약가구의 임대보증금이 경제충격 파급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