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가구 중 6가구 금융빚 있고, 평균 1억1879만원 대출…상·하위 20% 소득격차 5.96배로 더 벌어져

2022.12.01 12:05 입력 2022.12.01 16:23 수정

통계청

통계청

올 3월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부채가 처음으로 9000만원을 돌파, 1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부채는 40대, 자영업자 가구에서 특히 높았다. 10가구 중 6가구 꼴로 금융빚을 지고 있었는데 가구당 금융부채는 1억원이 넘었다. 평균자산, 가구소득, 처분가능소득 모두 5분위 가구 전체에서 고르게 늘었지만, 소득이 낮은 1분위의 증가율이 다른 분위들 보다 모두 낮았다. 이에따라 저소득 가구와 고소득가구의 자산, 소득, 처분가능소득규모 격차는 1년 전보다 더 벌어졌다.

1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자료를 보면 지난 3월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70만원으로 8801만원이던 지난해보다 4.2% 증가했다. 가구당 평균 부채가 90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채는 금융부채와 임대부채로 구성되는데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6803만원)는 지난해보다 4.4%, 임대보증금(2367만원)은 3.6% 증가했다.

가구 소득분위별로 보면 1분위를 제외한 나머지 분위에서 모두 부채가 늘었다. 소득 3분위에서 6.5%, 5분위에서 4.9% 순으로 증가한 반면, 1분위에서는 2.2%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가구주가 40대인 가구에서 평균 1억2328만원, 자영업자인 가구에서 1억238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부채 증가율은 50대, 60세 이상이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10가구 중 6가구 금융부채, 평균 1억1879만원…최근 가파른 금리인상 영향권

전체 가구의 57.3%가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금융부채는 1억1879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부채 보유 비율은 지난해(57.4%)와 비슷했지만 평균 부채규모는 500만원 이상 높아졌다. 통계청 조사 이후 가파른 금리 인상이 이어졌던만큼, 10가구 중 6가구가 금리인상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었을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다’고 응답한 비율은 4.7%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떨어졌지만, 최근 가파른 금리인상을 고려하면 해당 비율이 높아졌을 것으로 보인다.

가구 평균 자산은 5억4772만원으로 전년대비 9%, 가구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5602만원으로 전년대비 10% 증가했다. 금융자산에서 7.1%, 실물자산에서 9.5% 각각 증가했는데, 실물자산의 증가 요인은 지난해 가파른 집값 상승 등 거주주택 자산 증가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동산과 전세가격 상승 등으로 실물자산 증가율은 역대 두 번째로 높았고, 금융자산 증가율은 세 번째로 높았다. 다만 이 조사는 올해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이 본격화하기 전인 3월 말 기준으로 집값이 하락하고 있는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을 수도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2022년 조사 결과는 최근 금리상승 및 부동산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현재 체감하는 경기상황과는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가구의 55.7%가 3억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했는데, 10억원 이상인 가구는 11.4%였다. 1년전에 비해 1억~2억원 미만 보유가구의 비중은 1.1%포인트 감소하고, 8~9억원 미만과 10억 이상 보유한 가구의 비중이 각각 0.8%포인트, 2.0%포인트 증가했다.

전체가구 55.7%가 순자산 3억원 미만…10억원 이상 가구 11.4%

자산 증감을 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3분위가 10.4%로 가장 많이 늘었고, 최고 소득층인 5분위에서도 10.1% 증가했다. 반면 1분위 자산증가율은 4.4%로 전분위 중 가장 적게 늘었다. 이에따라 자산 점유율은 소득 5분위에서 전년대비 0.5%포인트 증가하고, 2분위와 1분위에서는 각각 0.4%포인트, 0.3%포인트 줄었다.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2억910만원으로 1분위 가구 평균 자산(1억7188만원)의 7배였는데, 이는 지난해(6.8배)보다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순자산은 5분위 평균이 16억2471만원으로 1분위 평균(3862만원)보다 40배 가량 많았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에서 6억4236만원, 자영업자 가구에서 6억6256만원, 자가 가구에서 7억3669만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가구의 평균 소득은 6414만원으로 2020년 6125만원에 비해 4.7% 증가했는데, 근로소득이 7%, 사업소득이 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구소득 분포는 1000만∼3000만원 미만에서 23.2%로 가장 높았다. 1000만원 미만은 6%, 1억원 이상은 17.8%였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소득이 1억4973만원으로 전년대비 5.4%(765만원)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1분위 소득 증가율은 2.2%(29만원)로 전체 분위중 가장 낮았다.

자산, 소득, 처분가능소득 증가율 저소득 1분위가 최저…지니계수, 5분위 배율 동시 악화

자산과 소득에서 고소득층인 5분위의 약진이 두드러진 반면, 1분위가 상대적으로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소득분배지표는 지난해보다 나빠졌다.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지니계수(처분가능소득 기준)는 지난해 0.331에서 0.333으로 0.002 소폭 증가했다. 지니계수는‘0’에 가까울수록 평등, ‘1’에 가까우면 불평등도가 커졌음을 의미한다.

가구가 직접 벌어들인 소득인 ‘균등화 시장소득’과 이 소득에서 연금이나 세금같은 공적이전지출을 제외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모두 1분위 증가율이 전 분위 통털어 가장 낮았다. 1분위 ‘균등화 시장소득’ 증가율은 5.7%로 평균(7.1%)를 밑돌았고, ‘균등화 처분가능소득’도 4.5%에 그쳐 평균(6.3%)에 못미쳤다. 반대로 5분위 증가율은 각각 7.1%, 6.5%를 기록했다.

균등화 가처분소득 5분위 배율은 5.96배를 기록했다. 상위 20% 소득 평균값이 하위 20%의 5.96배라는 의미다. 지난해 보다 0.11배포인트 나빠졌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 시장소득 기준으로 본 5분위 배율 역시 11.37배에서 11.52배로 0.14배포인트 악화됐다. 기초연금이나 세금 같은 정부정책에 따른 공적 개입이 없는 상태로 보면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11.52배에 달한다는 이야기다.

노후준비 잘돼있다 8.9%…은퇴후 적정생활비 314만원, 8만원↑

한편, 이번 조사에서 노후준비가 잘돼있다고 응답한 가구는 8.7%로 지난해(8.9%)보다 소폭 감소했다. 또 ‘노후준비가 잘 돼 있지 않다’고 응답한 가구는 52.6%로 전년대비 1.6%포인트 감소했고, ‘보통’이라는 응답 비율이 1.8%포인트 증가했다.

예상 은퇴연령은 평균 68세였는데, 실제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의 은퇴연령은 62.9세로 이보다 5년 가량 빨랐다. 은퇴 후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적정생활비는 314만원으로, 전년대비 8만원 증가했다.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중 생활비 충당 정도가 ‘여유 있는 가구’는 10.3%로 전년대비 2.1%포인트 감소하고, ‘부족한 가구’는 57.2%로 전년대비 1.6%포인트 증가했다. 생활비 마련 방법은 ‘공적 수혜금’(33.6%), ‘공적연금’(30.4%), ‘가족수입 및 자녀 등의 용돈’(22.4%) 순이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