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가격 50%나 떨어졌는데 왜 빵·과자는 비쌀까”

2023.11.13 14:28 입력 2023.11.13 15:26 수정

빵과 과자·라면 등의 주원료인 밀 가격이 절반 이상 떨어졌지만 식품 가격은 좀처럼 내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3일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선물 시장 등에 따르면 이달 밀의 부셸(곡물 중량 단위·1부셸=27.2㎏)당 가격은 평균 5.69달러였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여파로 가격이 치솟았던 지난해 5월 평균 가격(11.46달러)에 비해 50.3% 하락했다.

빵과 과자, 라면 등의 또 다른 주원료인 대두도 지난해 3월 16.73달러까지 올랐다가 이달 들어 13.40달러로 19.9% 하락했다. 팜유(-41.8%), 옥수수(-39.4%), 대두유(-38.3%) 등도 지난 5월 정점을 찍은 뒤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6월 라면 소비자물가지수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 이후 14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6월 라면 소비자물가지수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 이후 14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이처럼 빵·과자·라면 등의 원자재 가격이 내려가고 있지만 식품 가격은 떨어질 줄 모른다는 점이다.

올해 1∼10월까지 가공식품 소비자 물가는 누계비 기준 전년 같은 기간보다 7.6% 상승했다. 같은 기간 외식 물가도 6.4% 올랐다. 지난해를 제외하면 1994년(6.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식품업체들이 원자재 값이 올라갈 때는 제품가격을 인상하면서 내려갈 때는 잘 반영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올해 상반기 주요 식품업체의 영업이익 성장률을 보면 농심은 실적이 나빴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4.5% 증가했다. 빙그레(160.3%)도 세 자릿수 이상 증가율을 기록했다. 해태제과(75.5%), 풀무원(33.2%), 동원F&B(29.7%), 오뚜기(21.7%), 삼양사(20.3%), SPC삼립(16.2%) 등 역시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최근 성명을 통해 “(식품기업들이) 원재료가 하락한 상황에서도 국민의 고통 속에 기업들은 자신만의 이익만을 채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라면의 소비자 가격 상승률은 2022년 9.3%, 2023년 8.8%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과자의 소비자 가격도 6.7%, 8.5% 상승했다.

그러나 식품업계는 다른 원재료 가격이 오르고 에너지 가격, 인건비 등도 올라 가격을 내리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밀과 팜유 등 가격이 하락하긴 했지만 전분·설탕 등 가격이 올라간 원재료도 있어 당분간 가격인하는 어렵다”고 말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생산비용이 그동안 많이 올라도 제때 반영하지 못한 데다, 이익의 절반 이상은 ‘K푸드’로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업체도 있는데 국내 소비자한테서 이익을 많이 남긴다는 건 오해”라고 해명했다.

파리바게트 빵. SPC그룹 제공

파리바게트 빵. SPC그룹 제공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