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올리고 물가 전망은 유지···하반기 금리인하도 불확실

2024.05.23 16:43 입력 2024.05.23 18:26 수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은 23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높이면서도 물가 전망은 유지했다. 수출 회복이 성장률을 높이는 요인이지만 추가적인 물가 상승 압력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여전히 물가가 불안해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더 밀리게 됐다. 시장에선 기준금리를 하반기 한 번 정도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하지만, 연내에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수출이 끌어올린 성장률 전망치
소비 개선되나 내수 회복세는 크지 않아

성장률 올리고 물가 전망은 유지···하반기 금리인하도 불확실

한은이 성장률 전망을 높인 가장 큰 이유는 수출에 있다.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를 600억 달러로 전망했다. 기존 전망(520억 달러)보다 80억 달러 높인 수치다. IT경기 회복, 미국의 강한 성장세 등에 따라 수출 실적이 좋아 예상보다 늘렸다는 게 한은 설명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성장률 제고의 4분의 3 정도가 순수출에 기인한다”며 “수출이 예상보다 좋았고 겨울 에너지 수입이 예상보다 줄었다”고 했다. 상향 조정된 0.4%포인트 중 대외 요인이 0.3%포인트, 내수부진 완화 등 대내 요인이 0.1%포인트 였다는 것이다.

통상 성장률이 오르면 물가도 같이 오르지만 이번 한은 전망에서 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치(2.6%)를 유지했다. 이 총재는 “수출이 물가에 주는 영향이 내수보다 제한적”이라며 “내수에선 정부가 유류세 인하를 연장한 영향 등으로 물가 상승 압력을 제한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또 내수가 회복되겠지만 개선세가 눈에 띌 만큼 크진 않을 것으로 봤다. 한은은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기존 1.6%에서 1.8%로 올렸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기존 -2.6%에서 -2.0%로 예상했다. 반면 설비투자는 4.2%에서 3.5%로 0.7%포인트 낮췄다. 내수의 경우 1분기 정부 지출 조기집행, 휴대폰 출시 등 일시적 요인이 작용했고 2분기 둔화됐다가 3~4분기에 좋아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 총재는 “우려했던 것보다는 나쁘지 않다는 정도”라고 했다.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할까

관심은 하반기 금리 인하가 가능하느냐 여부로 모아진다. 미국 금리 인하가 뒤로 밀리고, 예상밖으로 경제가 좋아지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더 불확실해졌다.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1명이 3개월 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했고, 5명은 금리 동결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일단 1분기 1.3%라는 ‘깜짝 성장’과 여전히 높은 물가 수준은 이날 금리 동결의 배경이다. 한국이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려 한·미 금리 격차가 현 2%포인트보다 더 벌어지면 원·달러 환율이 불안정해지거나 자본 유출 등이 우려된다. 전날 공개된 5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연준 위원들은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 총재는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가 있지만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4월에 비해 훨씬 커졌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오는 10월 이후 한 차례 인하 전망과 연내 인하가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이 혼재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은 9월 인하 가능성이 크고, 우리는 내수가 장기적으로 침체돼 있어 미국 금리 인하 이후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도 “미국은 9월 인하 가능성이 가장 크고, 한국은 올해 4분기쯤 한번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다만 물가가 안 잡히고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이지 않는다면 인하 시점이 내년으로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