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암매장 추정지 발굴 실패의 원인?

2019.04.08 06:00 입력 2019.04.08 06:01 수정

‘시신 광주 밖 운구’ 피해자들 주장 뒷받침

5·18민주화운동 기간 공군 수송기가 ‘시체’를 운반했다는 기록은 5·18 행방불명자 문제와 닿아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는 현재 76명에 이른다. 이는 242명의 행방불명 신고가 있었지만 심사를 통해 공식 인정된 규모다. 광주시와 5·18기념재단 등은 1997년부터 ‘5·18 행불자 소재 찾기’를 통해 행불자 찾기에 나섰다. 특히 대다수의 행불자가 당시 사망한 뒤 계엄군에 의해 암매장됐을 것으로 보고 발굴을 시도했다.

제보와 전문가들의 사전 조사를 바탕으로 시와 5월단체는 지난 22년 동안 암매장 의심지역 11곳을 파헤쳤지만 단 1구의 유골도 찾지 못했다. 발굴은 모두 광주지역에서 진행됐다. 그러는 사이 5·18 피해자들 사이에서는 “계엄군이 광주 외부로 시민들의 시신을 옮겨 처리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심심찮게 나왔다.

1980년 5월25일 광주비행장과 김해비행장을 오간 공군 수송기 운항을 기록한 군 문건에 ‘시체’라는 단어가 쓰여 있는 것은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정적 단서일 수 있다.

5·18 연구자들은 조사를 통해 반드시 문건에 적힌 ‘시체’가 무엇인지 확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영기 조선대 교수는 “그동안의 조사와 연구에서 공군의 역할을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김해로 무엇을 옮겼는지, 해당 문건의 작성 경위와 ‘시체’가 무엇인지 당시 관계자들을 상대로 반드시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8년 국방부 특조위에서 공군을 조사했던 송선태 조사관은 “특조위 조사에서 공군 수송기 조종사들은 ‘우리는 비행기 조종만 했지 육군이 어떤 화물을 실었는지 알지 못한다’고 했다”면서 “5·18 당시 공군 측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고 역할에 대한 조사도 부족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수송 목록에 ‘시체’라고 적혀 있는 만큼 반드시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