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2년 노동정책, 노동자 대신 사장·부자 편들었다”

2024.05.07 14:59 입력 2024.05.07 16:28 수정

노사관계·노동시장 전문가들 평가

“친 사용자 정책···노동권은 축소”

“고용안정 부족한데 유연화 추진”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을 사흘 앞둔 7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2년 노동·사회정책 평가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을 사흘 앞둔 7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2년 노동·사회정책 평가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윤석열 정부가 집권 2년 동안 펼친 노동정책이 사용자 측에 편향돼 실제 노동자의 현실은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는 전문가 평가가 나왔다.

박용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7일 민주노총·참여연대 등이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연 ‘윤석열 정부 2년 노동·사회정책 평가 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서 정부의 노사관계가 전반적으로 사용자 지향적이고 노동자를 배제했다고 봤다. 박 연구위원은 “정부의 노사관계 정책은 초기부터 친사용자 중심 거시경제정책과 궤를 같이했다”며 “부자감세와 규제완화를 추진하며 노조활동을 관리·통제했고, 노동자를 노사관계의 주체가 아닌 객체로 인식했다”고 했다.

박 연구위원은 정부의 주요 노동정책이 ‘주 69시간 노동시간 개편안과 임금체계 개편 권고’ ‘일방적인 공공기관 혁신안 추진’ ‘노조 운영 개입·통제’ ‘중대재해처벌법 약화 시도’ ‘노란봉투법 거부권 행사’ ‘무성의한 사회적 대화’ 등으로 요약된다고 봤다. 박 연구위원은 “노사관계는 악화됐고, 노동조합은 위축됐으며, 사회적 대화는 실종됐다”며 “노동자와 국민의 노동기본권은 축소되고 생계는 더 어려워졌다”고 했다.

박 연구위원은 “5인 미만 사업장에 근로기준법을 전면 적용하고, 다양한 근로형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최소한의 보호를 제공해야 한다”며 “산업안전과 산재예방을 강화하고 노조에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사회적 대화 활성화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독립성 보장 및 권한 확대 등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을 사흘 앞둔 7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2년 노동·사회정책 평가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 취임 2주년을 사흘 앞둔 7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2년 노동·사회정책 평가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정부의 노동시장 정책을 분석한 이시균 한국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도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시기를 막 벗어나면서 고용이 증가했지만 2023년부터는 투자와 생산 둔화로 고용증가세가 둔화됐고, 인구감소로 노동력 공급도 줄어들 전망”이라며 “외국인력 활용 정책 논의는 충분하지 못한 수준이고, 내국인 비경제활동 인구 참여 확대에도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연구위원은 정부의 노동시간·임금체계 개편 등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을 두고는 “노동시장에서 주변부를 확대하고 근로조건의 취약성을 더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고용안전망 수준이 낮은 한국에서 노동시장 유연화는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 같은 정책들은) 노동력 부족 시대에 고용의 질을 제고하려는 흐름과 배치된다”며 “인구구조 변화와 디지털화에 대응하기 위한 근본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