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청문회, KBS만 유튜브 생중계 안 했다?···“정권에 굴종”

2024.06.21 17:35 입력 2024.06.21 18:13 수정

‘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를 생중계한 방송사 유튜브 채널들. KBS 채널은 청문회를 생중계하지 않았다. 민주노총 언론노조 KBS본부 제공

‘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를 생중계한 방송사 유튜브 채널들. KBS 채널은 청문회를 생중계하지 않았다. 민주노총 언론노조 KBS본부 제공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 관련 핵심 증인들이 출석한 21일 국회 청문회를 주요 방송국들이 유튜브로 생중계했지만, KBS만 생중계를 하지 않았다. KBS 노조는 사측에 “더 이상 정권과 여당의 비위를 맞추지 말라”고 비판했다.

이날 주요 방송국 유튜브 채널을 보면, KBS 뉴스 유튜브 채널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를 생중계하지 않았다. 지상파 방송인 SBS와 MBC, 종합편성채널인 JTBC·채널A·MBN·TV조선, 보도전문채널인 YTN과 연합뉴스TV 등 주요 방송사들은 일제히 유튜브 생중계를 진행했다.

이날 국회 입법청문회에는 수사외압 의혹을 고발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을 비롯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 의혹 핵심 당사자들이 출석했다.

민주노총 언론노조 KBS본부는 이날 성명을 내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면 없는 일이 되는가”라며 “숨길 수 없는 일을 숨기려는 건 윤석열 정권과 여당에게 굴종하는게 아니면 무엇이란 말인가”라고 했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등이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묵념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등이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묵념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KBS본부는 KBS 디지털뉴스부에 유튜브 생중계를 하지 않는 이유를 질의한 결과, “야당 단독으로 진행하는 상황이라 야당의 입장만 전달할 수 있어 생중계를 하지 않기로 했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했다. KBS 사측이 몇 주 전 ‘여야가 모두 참석하는 상임위나 청문회만 생중계를 한다’는 내부 기준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KBS본부는 “앞으로 열릴 가능성이 높은 김건희 여사 관련 청문회나 국정조사도 여당인 국민의힘이 불참하면 방송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여당이든 여당이든 단독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적 관심사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게 공영방송의 의무”라고 했다.

KBS본부는 “특정 권력에 경도돼 공영방송 KBS에 정치적 영향력을 투영하는 짓을 지금이라도 당장 중단하라”며 “더 이상 정권과 여당의 비위를 맞출 게 아니라, 국민의 관심에 부응하고 알권리를 보장하는 방송으로 공영방송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라”고 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