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D-5개월, 3대 변수

2019.11.11 20:44 입력 2019.11.11 20:45 수정
박래용 논설위원

내년 총선은 여야 모두 정치 명운이 걸린 격전장이 될 수밖에 없다. 더불어민주당은 문재인 정부 후반기를 탄탄하게 끌고 갈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총선 승리가 절실하다. 자유한국당은 벼랑 끝에 몰려 있다. 자신들이 배출한 두 명의 대통령이 단죄받고 보수세력이 궤멸되다시피 한 마당에 총선마저 실패하면 더 이상 재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총선 D-5개월. 예측 가능한 변수는 세 가지다.

[박래용 칼럼]총선 D-5개월, 3대 변수

첫째, 대통령 지지율이다. 2015년 11월. 지금처럼 총선을 꼭 5개월 앞둔 때다.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 지지율은 39%, 야당인 민주당이 22%였다. 17%포인트 격차다. 여야가 바뀐 현재 민주당은 41%, 한국당은 25%다. 놀랍게도 격차가 비슷하다. 그런데 다섯 달 뒤 총선에선 예상을 뒤엎고 민주당이 123석 대 122석으로 승리, 제1당을 차지했다.

왜일까. 그때는 국민의당이란 3당이 있었지만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 변수는 아니었다. 국민의당은 호남에서 민주당 표를 빼앗았고 수도권에선 새누리당 표를 분산시켰다. 양당 모두에 비슷한 손해를 안겼다는 게 당시 분석이었다. 국민의당 출현 이후에도 새누리당 37%, 민주당 20%, 국민의당 17%로 제1, 2당 간 격차는 여전했다. 그런데 총선 결과는 달랐다. 여론조사 전문가는 “전국적인 지지율을 지역구 선거에 곧바로 연결시키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지역구 선거는 1만표를 이겨도 1석, 1표만 져도 0석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총선은 대통령 지지율을 보고 전망하는 게 더 정확할 거라고 한다. 다시 4년 전으로 돌아가보자. 2015년 11월 갤럽 조사에서 박근혜 대통령 긍정평가는 41%, 부정평가는 49%였다. 엊그제 나온 같은 조사에서 문 대통령은 긍정평가 45%, 부정평가 47%였다. 거의 비슷하다. 주목할 부분은 그다음부터다. 이후 박 대통령 지지율은 추락세가 이어지다 총선 직전인 3월엔 36%까지 떨어졌다. 새누리당 지역구 득표율(38%)과 거의 똑같다. 박 대통령 지지율 추락을 보면 이미 새누리당의 총선 패배는 예고돼 있었다. 결국 내년 총선도 문 대통령의 지지율 추이를 보면 짐작 가능하다는 얘기다. 총선은 중간평가 성격이 강하다. 대통령 지지율이 50% 이상이면 중간평가는 희미해지고 여당 승리를 예측할 수 있다. 40% 이하면 여당 패배다.

둘째, 보수야당의 판도다. 한국당의 위기는 심각하다. 혁신과 감동, 비전과 전략, 오너십이 없는 ‘5불 야당’이란 말도 나온다. 당 지지율은 조국사태 이전으로 돌아갔고, 황교안 대표의 대권주자 가치는 날로 폭락하고 있다. 황 대표는 취임 8개월이 넘도록 말로만 혁신과 통합을 외쳤다. 위기에 몰린 황교안은 보수대통합 추진을 선언했다. 보수야당이 한 묶음으로 뭉치면 총선 승리가 가능할까. 여론조사 전문가에게 물어봤다.

“보수정당의 파이는 최대 35% 정도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전 지지율과 같다. 현재 지지율은 한국당 23%, 바른미래당 5%, 우리공화당 1%다. 단순히 다 합치면 29%다. 보수통합의 시너지 효과로 살이 더 붙을 수 있고, 도로새누리당에 실망해 빠져나가는 변수도 있을 것이다. 이걸로는 부족하다. 수도권의 경우 40% 이상 득표해야 당선권이다. 더 큰 모멘텀이 있어야 한다.”

- 더 큰 모멘텀이란.

“보수야당의 지지율은 ‘조국사태’ 등 정부·여당의 실책으로 얻은 반사이익이 대부분이다. 경제가 나빠지고 정부·여당이 잘못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제는 자력으로 지지율을 끌어올려야 한다. 쇄신이나 혁신으로 감동을 줘야 한다.”

- 그러면 반등이 가능한가.

“더 나쁜 건 비호감도가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국당 비호감도가 62%다. 40대 이하에선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응답이 평균 74%다. 한국당엔 눈길조차 주지 않는다는 의미다. 오래된 현상이다. 호감도는 몇 달 만에 갑자기 높아지지 않는다. 한국당은 웬만해선 표의 확장성이 크지 않다.”

셋째, 보수대통합은 가능할까. 지금 보수야당이 갈라져 있는 건 박근혜 탄핵에 대한 입장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바른미래당은 탄핵에 동조했고, 우리공화당은 탄핵을 인정조차 않고 있다. 한국당 내부는 친박이 친황으로 바뀌었을 뿐 탄핵 전과 후가 달라진 게 없다. 이들이 달라질 것 같지는 않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은 통합의 최대 변수다. 연동형 비례제는 소수당에 유리하다. 선거법이 통과되면 ‘유승민 신당’도 독자생존의 살길이 열린다. 선거법이 무산돼야 통합은 급물살을 탄다. 선거법은 12월3일 다른 패스트트랙 법안과 함께 본회의에 오른다. 그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