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와 민둥산

2022.09.14 03:00 입력 2022.09.14 03:03 수정
김월회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김월회의 행로난] 원숭이와 민둥산

왕안석은 북송 시대 신법이라 불리는 개혁안으로 이름이 높았던 이다. 그는 초임은 지방관으로 임용하는 관례에 따라 지방에서 관리 생활을 시작하였다. 몇 년 후 황제는 그를 조정으로 불렀다. 하지만 그는 지방 실정을 더 파악하고자 중앙으로의 진출을 마다했다. 그의 혁신이 처음에는 기득권층의 거센 저항에 좌초되었지만, 시일이 흐른 후 적잖이 채택된 것은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한 이러한 노력 덕분이었다. 그를 훌륭한 정치가로 평가할 수 있는 이유다.

정치뿐만이 아니었다. 그는 시가와 산문에서도 대가 반열에 올랐던 인물이다. 특히 사회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한 시는 일품이라 칭할 만했다.

“원숭이가 서로 짝지어 새끼를 낳고/ 그렇게 자손이 늘자 산은 비좁아졌지요./ 산에는 초목이 무성했고/ 뿌리와 열매 풍성했지만/…/ 뭇 원숭이 죄다 배부르고 살찌자/ 산은 이내 민둥산이 됩디다./ 서로 밀치고 다투어야 한번 배부를 수 있으니/ 거둬들여 저장할 일, 도모할 겨를이나 있었겠습니까.” <민둥산(禿山)>

한번은 왕안석이 임지로 가는 길에 바다를 건너게 됐다. 그런데 멀리 한 섬의 민둥산이 시야에 들어왔다. 다른 섬의 산은 우거졌는데 그 산만 민둥산이었던지라 그 까닭을 물었다. 이에 마을사람들이 그 사정을 말해주었다. 이 시에서 산과 원숭이는 각각 중국과 통치계층을 가리킨다. 통치계층이 미래를 대비하지 않은 채 당장의 욕망에 매몰되어 산의 자원을 마구 착취했고, 그 결과 다른 산과 달리 민둥산이 되어버렸다. 곧 중국이 몰지각한 통치계층 탓에 황폐해졌다는 얘기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이 든다. 원숭이는 꾀 많은 존재의 비유로 줄곧 활용된다. 하여 이렇게 대책 없이 욕망을 충족하다간 머지않아 자원이 고갈되리라는 것 정도는 익히 알았을 법하다. 그럼에도 이런 일이 벌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혹 그렇게 미래를 내다보며 현실을 제어할 수 있는 원숭이가 당장의 욕망에 눈먼 원숭이들의 등쌀 탓에 배제되어 제 역할을 할 수 없게 된 결과가 아닐까?

물론 위 시의 내용만으로는 정말 그러했는지를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가능성은 높아 보인다. 우리 주변에 그와 같은 일이 심심치 않게 벌어지는 것을 보면 말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