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은 서울서 ‘2+2 외교안보대화’…“북·러 밀착도 논의”

2024.06.18 20:38 입력 2024.06.18 22:24 수정

9년 만에 차관급 격상 진행

‘한반도 비핵화 문제’ 등 협의

19일 장쑤성 당서기 방한

정부 “실질 협력 증진 기대”

김홍균 외교부 1차관(왼쪽에서 세번째)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 앞서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왼쪽에서 두번째) 등과 기념촬영을 한 뒤 자리를 권하고 있다. 왼쪽은 장바오췬 중국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오른쪽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 김창길 기자

김홍균 외교부 1차관(왼쪽에서 세번째)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 앞서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왼쪽에서 두번째) 등과 기념촬영을 한 뒤 자리를 권하고 있다. 왼쪽은 장바오췬 중국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오른쪽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 김창길 기자

한국과 중국의 외교·국방 ‘2+2’ 외교안보대화가 18일 서울에서 개최됐다.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4년 만에 북한을 방문했다. 한·중 회담에서도 북·러 밀착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과 외교안보대화를 진행했다.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과 장바오췬 중국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등도 참석했다.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2013년과 2015년 국장급으로 열렸으며, 이번에는 9년 만에 차관급으로 격상돼 처음 열렸다.

회담의 주요 의제는 한·중 양자 관계, 한반도 정세, 지역 및 국제 정세 등이다. 푸틴 대통령이 이날 북한을 방문해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회담을 하는 만큼, 북·러 협력도 한·중 회담의 논의 테이블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북·러가 정상회담을 통해 체결할 것으로 예상되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등이 한반도와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얘기도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회담 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러 간 협력 동향은 한·중 회담에서 자연스럽게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회담의 큰 의제 안에서 서로 신축적으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고, 기타 관심사를 두고 얘기를 나눌 수도 있다”고 말했다.

중국 측은 북·러 정상회담을 두고 “러·조 간의 양자 왕래”라고 밝혀왔다. 다만 북·러 밀착이 동북아 정세 불안정성을 가중할 수 있고, 북한에 대한 중국 영향력이 축소될 수 있다는 점 등을 이유로 달가워하지 않는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중은 이날 남북 간 긴장 고조 상황과 한반도의 비핵화 문제 등도 협의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역할을 요청했고, 중국은 대만 문제와 관련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재차 강조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양측 대표단은 이날 공식 회담에 이어 만찬도 진행했다. 양측은 만찬에서 공식 회담에서 다루지 못한 사안들을 두고 의견을 주고받았다.

한편 신창싱 중국 장쑤성 당서기가 19일 한국을 방문한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한·중 간 고위급 교류의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뤄지는 중국 지방정부 고위 인사의 방한”이라며 “한·중 간 실질 협력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창싱 당서기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자치단체장, 기업인 등을 면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