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후 한국 가계 빚 증가폭, 선진국 3배

2021.12.13 20:56 입력 2021.12.13 21:01 수정

한은 “주요국은 정부가 부채 증가 주도…한국은 민간 부담”

코로나 후 한국 가계 빚 증가폭, 선진국 3배 이미지 크게 보기

코로나19 이후 한국에서는 가계와 기업 등 민간 부문이 부채 증가세를 주도하고, 취약 부문의 부채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13일 발표한 ‘매크로 레버리지(정부와 민간 부문의 부채를 합한 총부채) 변화의 특징 및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주요국의 경우 정부 부문이 코로나 위기 이후 부채 증가를 주도하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민간의 레버리지가 상대적으로 크게 늘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이후 선진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 상승폭(직전 3개년 평균 대비)은 정부가 20%포인트로 가장 크고 가계, 기업은 각각 3%포인트, 8%포인트에 그쳤다. 반면 한국은 정부가 7%포인트 늘어나는 동안 가계에서 10%포인트, 기업은 13%포인트 상승해 민간의 부채비율 상승폭이 더 컸다. 보고서는 “자산가격 급등, 코로나19 충격 등으로 상대적으로 상환능력이 낮은 청년층과 취약 부문의 대출이 큰 폭 늘었다”면서 “기업 부문에서도 중소기업 및 숙박·음식 등 취약 업종에서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됐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부채의 가파른 증가세가 지속될 경우 향후 국내 경기변동성 확대, 거시금융안정성 저해 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정책 여력과 민간의 지출 여력을 축소해 경기대응력을 떨어뜨리는 요인도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 2000년대 초반 카드사태 등의 영향으로 부채 축소를 경험한 이후 2005년 1분기부터 16년째 가계부채가 확대되고 있다. 한은은 “세계적으로도 이례적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