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임스 웹 망원경이 연 ‘우주의 심연’과 연구의 새 지평

2022.07.13 20:13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먼 우주의 모습을 찍어 보냈다. 우주로 떠난 지 6개월 만에 가시광 사진에서는 전혀 잡히지 않던 별들과 그 움직임을 처음으로 잡아냈다. 마침내 135억년 전 태초의 빛을 관측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11~12일(현지시간) 공개한 제임스 웹 망원경 촬영 사진을 보면 찬탄이 절로 나온다. 지구에서 46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수천개의 은하들이 검은 종이 위에 흩뿌려진 곡식 알갱이처럼 나타난다. 그 알갱이 하나하나에 태양계 같은 행성계가 수백 수천개씩 있고, 행성들이 무수히 들어 있다니 우주의 광활함에 경외심을 금할 수 없다.

지난해 크리스마스에 우주로 보내진 제임스 웹 망원경은 지금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제2 라그랑주 점’에 자리잡고 있다. 우주먼지 너머를 관측할 수 있는 고감도·고해상도 적외선을 이용해 우주의 심연을 찍어 보내고 있다. 인류가 이 망원경을 통해 이뤄낼 발견과 연구에 천문학계는 벌써 흥분하고 있다. NASA는 우주 형성 직후에 생성된 별빛을 잡아낼 계획이다. 성공하면 우주의 과거 규명은 물론 미래도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망원경에는 생명체가 있는 별을 찾기 위해 외계 행성의 대기 물질을 파악하는 관측 장비도 실려 있다. 노벨상 수상자 존 매더는 “제임스 웹이 찍은 사진을 보면 어딘가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된다”고 했다.

오늘의 성과는 인류의 우주를 향한 호기심과 노력이 쌓인 결과이다. 앞으로 갈 길은 더 멀다. 한국도 지난달 성공적으로 발사한 누리호의 신화를 이어가야 한다. 정부는 2027년까지 네 차례의 추가 발사를 계획하고 있고, 2031년에는 달에 착륙선을 보낸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주 연구는 인간 정체성과 그 근원을 찾는 길이기도 하다. 막연히 동경하는 대상에서 우주가 인간의 삶으로 다가오고 있다. 광활한 우주 앞에서 겸손하게 자신과 주변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