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69757922’…이한열 열사 36주기

2023.06.09 19:27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이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열렸다. 1987년 6월 9일 경찰의 최루탄에 맞고 피를 흘리는 이한열 열사를 표현한 대형 걸개그림 ‘한열이를 살려내라’의 최병수 작가가 제작한 조형물이 동산에 세워져 있다. 문재원 기자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이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열렸다. 1987년 6월 9일 경찰의 최루탄에 맞고 피를 흘리는 이한열 열사를 표현한 대형 걸개그림 ‘한열이를 살려내라’의 최병수 작가가 제작한 조형물이 동산에 세워져 있다. 문재원 기자

6·10민주항쟁 기념일을 하루 앞둔 9일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이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열렸다. 추모식에는 이 열사의 가족과 강성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상임부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우상호·이수진 의원과 학생 등이 참석했다.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이 열린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학생들이 이 열사의 영정 사진을 들고 추모식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문재원 기자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이 열린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학생들이 이 열사의 영정 사진을 들고 추모식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문재원 기자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이 열린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한 학생이 추모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이 열린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한 학생이 추모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6.10민주항쟁 기념일을 하루 앞둔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열린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에서 이 열사의 동생 이훈열씨가 발언을 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6.10민주항쟁 기념일을 하루 앞둔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서 열린 제36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에서 이 열사의 동생 이훈열씨가 발언을 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6.10민주항쟁 기념일을 하루 앞둔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 이한열 열사를 추모하는 조화가 놓여 있다. 문재원 기자

6.10민주항쟁 기념일을 하루 앞둔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 이한열 열사를 추모하는 조화가 놓여 있다. 문재원 기자

‘198769757922’는 한열동산 기념비에 새겨진 숫자다.

1987년 전국에서 500여 만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독재타도와 직선제 쟁취를 외치며 한국 민주화운동의 분수령을 이룬 6월 민주항쟁이 일어났다.

69일 연세대에선 다음날 열릴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 은폐 규탄과 호헌 철폐 국민대회’를 위한 결의대회가 열렸다. 당시 교문 밖에서 시위를 하던 이 열사는 사람을 향해 발포한 경찰의 최루탄에 머리를 맞고 쓰러졌다.

75일, 27일 동안 사경을 헤메던 그는 시민들의 간절한 바람에도 끝내 사망했다.

79일 시민들은 그의 희생을 애도하며 민주국민장으로 장례식을 거행했다.

그때, 그의 나이 22세였다.

6.10민주항쟁 기념일을 하루 앞둔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 이한열 열사를 추모하는 조화가 놓여 있다. 문재원 기자

6.10민주항쟁 기념일을 하루 앞둔 9일 서울 연세대학교 한열동산에 이한열 열사를 추모하는 조화가 놓여 있다. 문재원 기자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