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등 켜진 애그플레이션…상반기 물가상승률 2%대 가능할까

2024.03.10 16:39 입력 2024.03.10 17:11 수정

사과 등 과일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는 10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사과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사과 등 과일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는 10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사과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농산물 가격 고공 행진이 3월에도 멈추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오른 농산물 가격은 식료품·외식 가격을 연쇄적으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아 상반기 2%대 물가 상승률을 조기 달성하겠다던 정부 목표치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미국와 유럽연합(EU)의 중앙은행이 잇따라 금리인하를 시사하고 있지만 국내 물가는 잡히지 않고 있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정책에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 ‘농업관측 3월호’에 따르면 이달 딸기와 참외 등 과일과 토마토, 대파, 배추 등 채소 가격이 전년 대비 10%에서 크게는 절반 이상 뛸 것으로 전망됐다.

농경원 보고서를 보면 도매가격 기준 이달 토마토 가격은 5㎏당 2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43.9%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대추방울토마토는 3㎏당 2만4000원으로 같은 기간 11.2% 상승, 딸기(2㎏당)와 참외(10㎏당)도 각각 17.7%, 5.1%씩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

농경원은 이밖에도 대파(50.5%)와 배추(36.8%), 파프리카(14.9%), 애호박(29.5%), 취청오이(37.6%) 등 농산물 물가 전반이 이달에도 큰 폭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농경연은 작황 부진으로 출하량이 줄어 과채류 가격이 일제 상승하는 흐름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토마토와 대추방울토마토는 생육기(1~2월)에 일조시간이 부족해 착과율(열매가 달리는 비율)이 낮아지고 병해가 늘었다. 딸기와 참외, 파프리카나 취청오이 역시 잦은 비와 일조시간 부족 등 기상 여건 악화 탓에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면 새 과실을 수확하기 전까지는 1년 내내 높은 가격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향후 몇달 간은 높은 상승률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7일 기자간담회에서 높은 사과와 배 가격 상승률을 언급하며 “햇과일 출하 전까지 가격 강세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3월 과채류 가격 전망. 농촌경제연구원 제공 이미지 크게 보기

3월 과채류 가격 전망. 농촌경제연구원 제공

상반기 중 물가상승률을 2%대 수준으로 낮추겠다던 정부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겼다. 정부는 지난 1월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첫번째 목표로 상반기 2%대 물가상승률을 조기에 달성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정부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이달과 다음달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역대 최대 수준인 600억원을 투입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인 상승세를 억제하기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오히려 할인 지원이 수요를 자극해 물가를 더 올리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 식료품과 외식 가격 역시 연쇄적으로 오르는 것이 불가피해 물가가 향후 더 큰 폭으로 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2월 식료품 물가지수는 1년 새 6.7% 올라 1~2월 기준으로는 2021년(8.3%) 이후 3년 만에 가장 크게 뛰었다. 같은 기간 외식 가격 증가율도 4.0%로 집계되면서 전체 물가 상승률(3.1%)을 1%포인트 가까이 웃돌았다.

물가가 쉽사리 잡히지 않으면서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게 됐다. 시장에선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올 11월 대선을 앞두고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한·미간 기준금리 차를 유지해야 하는 한은으로서는 연준의 움직임에 따라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도 있지만, 국내 물가의 고공행진이 이어질 경우 금리 인하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발간한 ‘최근 한국·미국·유로지역의 디스인플레이션 흐름 평가’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높은 농산물가격과 누적된 비용압력 등이 물가 둔화흐름을 더디게 할 수 있다”며 “‘라스트 마일(마지막 단계)’에서의 물가 둔화 속도는 각국의 통화 긴축 기조 전환 시점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썼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