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식품물가 상승률 최고수준”

2009.07.01 07:40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5월 소비자물가 보고서에서 한국의 식품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11.0% 상승해 아이슬란드(17.5%)에 이어 회원국 중 두번째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5월 식품물가 상승률은 선진 7개국(G7) 평균이 1.9%, OECD 평균이 2.7%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한국은 선진국 평균보다 4~6배 가량 높은 셈이다.

한국은 4월에도 식품 물가상승률이 12.2%로 아이슬란드(18.8%)에 이어 회원국 2위를 차지한 바 있어 최근 급등한 장바구니 물가가 경제 위기 속 서민 생활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아이슬란드의 경우 지난해 파산 선언으로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는 등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에 있어 사실상 정상적인 OECD 회원국 중에는 한국이 식품 물가가 가장 높은 국가로 볼 수 있다.

5월 식품 물가 상승률은 아이슬란드와 한국에 이어 멕시코(10.4%), 뉴질랜드(9.7%), 헝가리(7.5%), 캐나다(7.4%)가 높았으며, 체코(-3.9%), 포르투갈(-2.6%), 아일랜드(-2.5%), 슬로바키아(-2.1%), 독일(-1.2%)은 오히려 전년 동월보다 내렸다.

식품과 에너지 부문을 모두 포함한 소비자 물가의 경우 한국은 5월에 전년 동월 대비 2.7% 증가해 OECD 회원국에서 높은 편에 속했다.

5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아이슬란드(11.7%)며 멕시코(6.0%), 터키(5.2%), 폴란드(4.0%), 헝가리(3.8%), 뉴질랜드.노르웨이(3.0%), 한국(2.7%) 순이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OECD 평균이 0.1%에 불과해 한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매우 높은 수준임을 엿볼 수 있었다.

반면 아일랜드(-4.7%), 미국(-1.3%), 포르투갈(-1.2%), 일본(-1.1%)은 소비자 물가가 크게 떨어졌다.

재정부 관계자는 "올해 들어 유가와 환율 때문에 식품 물가를 안정시키기 쉽지 않다"면서 "최근 서민 물가 관리를 위해 식품 원가 구조부터 들여다보고 있으며 식품업체의 부당한 폭리가 적발될 경우 엄히 처벌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