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2

한국 스타트업 맹활약에도 씁쓸한 뒷맛이 남는 이유

2022.01.10 14:05 입력 2022.01.10 20:20 수정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인 ‘CES 2022’  이틀째인 지난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스타트업 전시 공간인 유레카 파크에 서울시가 마련한 ‘서울관’이 관람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서울관’ 참가 기업 수는 25개사로 역대 가장 많이 참가했다. 연합뉴스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인 ‘CES 2022’ 이틀째인 지난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스타트업 전시 공간인 유레카 파크에 서울시가 마련한 ‘서울관’이 관람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서울관’ 참가 기업 수는 25개사로 역대 가장 많이 참가했다. 연합뉴스

지난 5~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2’에서 한국 스타트업의 활약은 단연 돋보였다. 세계 스타트업들의 경연장인 ‘유레카 파크’를 메운 800여개사 중 한국의 스타트업이 292개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인 2020년의 스타트업 참가사(200개사)보다 훨씬 많다. 2위 프랑스(140개사)와는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10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CES 2022에서 혁신상을 받은 국내 벤처·스타트업은 74개사나 됐다.

지난 6일 ‘CES 2022’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 유레카 파크에서 엠투에스의 박영경 매니저가 지난해 헬스케어 부문 최고혁신상을 받은 가상현실(VR) 눈 건강 측정기기를 시연하고 있다. 10여가지 테스트를 통해 눈 건강 상태를 알려준다. 박 매니저는 이 기기를 ‘인바디의 눈 버전’이라고 표현하면서 “한국에선 의료시스템의 진입장벽이 높아 우리 제품을 편하게 받아들일 미국과 유럽에 진출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미덥 기자

지난 6일 ‘CES 2022’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 유레카 파크에서 엠투에스의 박영경 매니저가 지난해 헬스케어 부문 최고혁신상을 받은 가상현실(VR) 눈 건강 측정기기를 시연하고 있다. 10여가지 테스트를 통해 눈 건강 상태를 알려준다. 박 매니저는 이 기기를 ‘인바디의 눈 버전’이라고 표현하면서 “한국에선 의료시스템의 진입장벽이 높아 우리 제품을 편하게 받아들일 미국과 유럽에 진출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미덥 기자

하지만 스타트업들의 속사정을 들으면 씁쓸함이 앞선다. 한국은 시장이 작고, 스타트업에 주어진 기회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CES에 참가해 세계 시장을 두드리려 했다.

인공지능(AI) 로봇으로 유명 셰프 요리를 재현하며 이번 CES에서 큰 주목을 받은 비욘드허니컴도, 가상현실(VR) 기기를 쓰고 눈 건강을 진단하는 기술로 지난해 최고혁신상을 받은 엠투에스도 한국에서의 성장보다 세계 무대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스타트업 대표는 “한국에선 ‘작은 기업이 되겠느냐’ ‘대기업이랑 함께해야지’라는 부정적 시선이 많은데, CES에선 우리 기술과 아이디어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특히 헬스케어 부문에선 비대면으로 사람(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디지털 치료 등 해법을 제시하는 종류의 신기술이 많은데, 한국에선 비대면(원격) 진료를 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보니 미국 시장으로 몰리기도 한다. 콥틱은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얼굴형을 분석하고 크기를 잰 후 맞춤형 안경을 추천·판매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는데 한국에선 안경의 비대면 판매를 금지하고 있어 미국에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의료기기를 개발한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의사의 통제를 받아도 좋으니, 새로운 기술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정해줬으면 좋겠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올해 건강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콥틱의 비대면 안경 주문 브랜드 ‘브리즘’. 기자의 사진을 찍자 기자에게 어울리는 안경테 4종을 추천해줬다.

올해 건강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콥틱의 비대면 안경 주문 브랜드 ‘브리즘’. 기자의 사진을 찍자 기자에게 어울리는 안경테 4종을 추천해줬다.

세계적으로 비대면 진료 자체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돼가고 있다. 선진국에선 비대면 진료를 인정하되 의료 형평성과 개인 의료정보 보호, 사회적 약자의 접근성 개선 등 더 발전된 논점을 찾아가고 있다. 이번 CES에선 ‘건강 기술이 건강 형평성(equity)을 진전시킬 수 있나’가 헬스케어 부문 주요 콘퍼런스로 추진(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됐다. 하지만 한국은 아직 정부와 업계, 의사협회가 비대면 진료 허용 여부를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유레카 파크에는 프랑스관, 네덜란드관, 일본관 등 국가별로 공간이 나뉘었는데, 한국은 중기부·코트라, 서울시, 삼성전자, 포스코 등 지원 기관별로 뿔뿔이 흩어져 있었다. 이들이 경쟁적으로 스타트업을 지원한 덕분에 많은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CES에 온 투자자·관람객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커다란 한국관을 두고 그 안에 유사한 스타트업끼리 모아서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더 시너지 효과가 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