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초대형 ‘아트센터’ 건립 특혜 논란

2011.05.01 21:47

시 부담 공사비 NSIC에 떠넘기고 대신 아파트 용적률 상향 추진

인천시가 송도국제도시에 연면적 10만㎡가 넘는 초대형 공연장을 짓고 있다. 하지만 이 사업이 특혜 논란과 함께 전시성 사업이라는 지적도 받고 있다. 인천시가 재원 조달을 위해 민간 개발업체의 아파트 개발 용적률을 높여주고 지원단지를 추가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게 문제가 됐다.

시는 2013년 준공을 목표로 송도국제도시에 ‘인천경제자유구역 아트센터(IFEZ Arts Center·조감도)’를 건립 중이라고 1일 밝혔다. 콘서트홀·오페라하우스·뮤지엄·음악학교 등 연면적만으로도 10만3317㎡에 달한다. 예술의전당(12만353㎡)보다 작지만 세종문화회관(5만3202㎡)의 2배 규모다. 일부 시설은 지하 터파기 공사가 진행 중이다. 공사비는 3468억원에 달한다.

인천, 초대형 ‘아트센터’ 건립 특혜 논란

인천시는 2009년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NSIC)가 송도개발 이익금으로 건설비 중 2300억원을, 나머지는 시가 부담하기로 하는 내용의 합의서까지 체결했다. 그러나 재정난에 빠진 인천시는 시 부담 공사비 1168억원을 충당하기 힘들어졌다. 인천시는 최근 NSIC에 나머지 공사비를 떠넘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대신 NSIC가 짓는 아파트 용적률을 상향 조정하고 일부 상업용지의 용도를 변경해주는 조건을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용적률 상향 조정에 따른 난개발 우려는 물론 특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아트센터 준공 이후에도 해마다 수백억원이 필요한 운영비를 어떻게 마련할지도 문제다. 인천시는 물론 각 지자체마다 문화·문예회관을 건립해놓고 운영비가 없어 허덕이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아트스튜디오·호텔·상업시설 등 지원단지를 조성, 해마다 250억원의 임대료를 받으면 운영비 조달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인천의 경우 현재 부동산 경기 침체로 아파트 미분양은 물론 상업시설 개발도 늦춰지고 있는 실정이다. 자칫 9조원의 부채를 안고 있는 인천시로서는 부족한 운영자금을 시 예산으로 투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일부에선 아트센터 사업에 대한 재검토는 물론 사업 규모를 축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나온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