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용 소방차, 초고층 앞에선 한계 드러내

2010.10.01 15:36

1일 발생한 부산 해운대 마린시티 우신골든스위트 화재는 재난영화 '타워링'을 연상케 할 만큼 끔찍했다.

38층짜리 우신골든스위트 4층에서 발생한 불길이 황금색 알루미늄 마감재를 타고 순식간에 옥상까지 번지는 바람에 미래 주거단지임을 자랑하던 마린시티는 일순간 아수라장이 됐다.

더욱이 세계 최고층 주거시설로 건설되고 있는 80층짜리 아파트 등 30층이 넘는 초고층 건물 사이로 치솟은 검붉은 불길이 몇 시간 동안 화마의 위력을 과시하는 동안 긴급출동한 수십대의 소방차는 사실상 속수무책이었다.

이날 무인용수탑차, 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 등 부산소방본부가 보유하고 있는 고층건물 화재 대비용 소방장비가 총출동했다.

무인방수탑차는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굴절붐을 조절해 파괴기로 유리창 등을 부순 후 탑에 설치된 방수포를 이용, 화재를 진압하는 차량이다.

고가사다리차와 굴절사다리차 역시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등 고층화돼가는 도심에서 일반적인 소방차로 곤란한 고층의 화재진압이나 인명구조에 활용하는 소방차량이다.

하지만,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를 최대한 뽑았지만 13~14층 이상의 불길을 잡는 것은 역부족이었다.

건물이 38층이었던 게 그나마 다행이었다. 더 높은 건물이었다면 고스란히 타 태웠을 것이라는 게 현장을 지켜본 이들의 지적이었다.

더욱이 불길이 건물 내부가 아닌 외벽을 타고 위로 번지는 바람에 건물 전체로 불길이 번지지 않은 게 천만다행이었다.

실전에서 한계를 드러낸 소방차 대신 그나마 활약을 펼친 건 헬기였다.

부산소방본부 소방헬기뿐만 아니라 긴급 지원에 나선 해양경찰청, 53사단, 산림청, 경남수방본부 헬기 등이 화재 진압뿐만 아니라 옥상으로 대피했던 9명의 주민을 긴급히 구조하는 등 맹활약을 펼쳤다.

현재 부산에는 해운대 센텀시티 WBC와 해운대리조트, 중구 중앙동 롯데월드 등 100층이 넘는 건물을 비롯해 초고층건물들이 속속 지어질 예정이다.

이번 우신골든스위트 화재가 고층건물 화재에 대비한 소방당국의 소방장비 강화가 시급함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 계기가 됐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