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 갈등 KBS ‘총파업 위기’

2010.06.01 18:05 입력 2010.06.01 23:49 수정
강진구 기자

사측 일방추진에 새노조 반발

이달 실시 찬반투표 결과 주목

KBS가 이명박 대통령 특보 출신의 김인규 사장 취임 후 6개월 만에 총파업 위기를 맞고 있다.

KBS 새노조(전국언론노조 KBS본부)가 김 사장 지시에 따라 추진되는 조직개편안에 반발해 총파업을 경고, 초읽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본사기준으로 PD 70%, 기자 55%가 소속된 새노조는 1일 중앙노동위에 조정신청을 한데 이어 16일까지 파업찬반 투표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총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향후 KBS 수신료 인상추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김 사장은 물론 정권에도 적잖은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KBS 사측은 새노조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4일 이사회의결을 거쳐 11일 본부장 인사, 18일 실·국장 인사를 통해 6월 중 조직개편안을 마무리 짓고 수신료 인상에 ‘올인’할 방침이다.

전국언론노조 KBS본부(본부장 엄경철)는 1일 쟁의특보를 통해 “경영진이 KBS를 파국의 6월로 몰고가고 있다”며 총파업을 재차 경고했다.

KBS본부에 따르면 김 사장 취임 후 KBS가 26억원을 주고 보스턴 컨설팅(BCG)에 의뢰해 확정한 조직개편안은 통합전략기획본부를 만들고 TV제작·라디오제작본부를 콘텐츠본부로 통합하는 등 중앙 통제 강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논란이 되는 부분은 <추적 60분> <심야토론> <소비자고발> 등 PD들이 담당하던 시사프로그램 제작을 ‘게이트 키핑’이 용이한 보도본부로 이관하는 내용이다. 새노조 측은 “김 사장의 비판적인 ‘PD 저널리즘 고사’ 의도가 반영된 조직개편안”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김 사장은 KBS 사장 취임 전부터 서울대 동창회보 인터뷰에서 “방송 개혁 1번이 PD 개혁” “KBS에서 PD 300명쯤 들어내도 상관없다” 등 PD 저널리즘에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사장에 취임해서도 지난 3월 강연회에서 의 광우병 보도와 관련, PD 저널리즘을 ‘불행의 씨앗’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새노조 김우진 홍보국장은 “중노위 조정결과가 변수가 되겠지만 사측의 의지가 보이지 않으면 총파업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KBS PD 71명은 이미 지난 31일 “현재 위기는 PD 저널리즘의 위기가 아니라 정권의 요구를 방어하지 못하고 스스로 비판의 성역을 설정한 KBS 경영진의 위기”라며 공동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강진구 기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