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문화연대 “땅값 2~4배 오른 것 맞아…손혜원, 투자 대신 제도 마련했어야”

2019.01.17 11:39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 측근들이 건물 다수를 매입해 논란이 되고 있는 전남 목포시 근대역사문화공간 전경.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 측근들이 건물 다수를 매입해 논란이 되고 있는 전남 목포시 근대역사문화공간 전경. 연합뉴스

정태관 목포문화연대 대표는 17일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친인척과 보좌관 등이 투자한 목포 근대문화역사공간의 부동산 가격이 “2~4배 올랐다”면서 손 의원이 “투자보다는 근대유산 보존·활용 제도를 마련했더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을 표했다.

정태관 대표는 이날 MBC라디오 <심인보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근대문화역사공간으로 지정된 만호동 일대가 “일본 잔재의 근대문화자원의 박물관”이라면서 “지인들 통해서 순수하게 투자를 할 수도 있겠지만 문광위 간사이자 국회의원 신분으로는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우선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지역 시민단체들도 시의회를 통한 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한다면서 “보존을 위해 주위 사람들에게 건물을 매입시켰다는 건 국민들로부터 많은 오해를 받을 수도 있는 방법을 택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목포 지역 시민단체 목포문화연대를 통해 서산·온금지구 아파트 재개발 철회운동 등을 펼쳐온 정 대표는 손 의원이 해당 지역 아파트 재개발 갈등을 투기 의혹의 배후로 지목한 데 대해 “두 지역은 약 4km 떨어져 있다”고 관련성을 부인했다.

그는 목포 근대문화역사공간의 부동산 가격 논쟁에 대해 “원래 낙후됐기 때문에 부동산 값이 평(3.3제곱미터)당 200만~250만원 정도 됐으나, 모니터링 결과 현재 손혜원 의원이 주변분들이 샀던 지역들은 600만원 선에서 왔다갔다 하고 있다”면서 “그 지역에서 한 100m 떨어진 쪽은 평당 800만원까지 거래됐다”고 말했다. 손 의원 주변인들이 투자한 지역의 상승폭은 크지 않으나 같은 근대문화역사공간 내 일부 지역은 최대 4배까지 올랐다는 것이다.

그는 “지역민으로서 안타깝다. 낙후된 지역이 재생사업이라든가 뉴딜사업을 통해서 잘 살아보려고 했는데 부동산 투기 이런 것이 전국적으로 이슈화되면 부끄럽기도 하다”면서 “시민들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부정적인 보도가 나와 안타깝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