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8280㎞ 도로 지반 살펴 땅 꺼짐 ‘위험지도’ 만든다

2023.12.20 21:22

서울시, 내년 추가 조사 범위 10배 확대…인력·장비도 2배로

서울시 공동 조사 전담팀이 지하의 빈 공간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도 구간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위쪽 사진)와 핸드형 GPR. 서울시 제공

서울시 공동 조사 전담팀이 지하의 빈 공간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도 구간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위쪽 사진)와 핸드형 GPR. 서울시 제공

땅속 빈 공간인 지하 공동(空洞)은 빗물이 유입돼 토사가 유실되거나 상·하수관 파손 등의 이유로 생긴다. 지하 공간 활용이 많아지고 도시가 노후화됨에 따라 발생 빈도가 잦아지는데 미리 대처하지 않으면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

서울시가 이처럼 공동 발생 우려가 큰 지역의 조사 구간 길이를 올해보다 10배 늘리고, 과학적 관리를 위한 지반침하 위험지도 구축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집중호우·해빙기 전후로 침하 가능성이 있거나 노후 상·하수관과 지하철역 주변 등의 도로 1850㎞에 대해 내년부터 연 2~4회 반복적으로 공동 특별점검에 나선다. 연차별 정기점검과는 별도로 연 500㎞를 추가 조사했던 범위를 연 5000㎞로 10배 확대하는 것이다.

5년 주기 정기점검에서는 올해부터 차도(6863㎞)뿐 아니라 보도(4093㎞)를 포함해 총 1만956㎞의 보·차도를 매년 2000㎞씩 살필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전담 조사 인력과 장비도 2배로 늘린다.

서울시가 관리하는 시내 도로 1만8280㎞ 구간은 2014년부터 전수조사를 시행 중이다. 이를 통해 공동 6394개를 사전에 발견해 복구했다. 발견된 공동 개수는 2018년 연간 1280개로 정점을 찍고 지난해 361개까지 줄었다가 올해 841개로 다시 늘었다. 1㎞당 공동 발견율로 보면 10년 새 0.61개에서 0.23개로 감소했다.

이 같은 예방 활동에 따라 2016년 57건 발생했던 땅 꺼짐 현상은 올해 22건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최근 강남구 언주역·청담역, 영등포구 여의도 등에서 크고 작은 땅 꺼짐이 발견돼 시민 불안은 가시지 않은 상태다.

이에 서울시는 올해 지하시설물·지질·지하수·지하개발 사업 등의 정보를 모은 지하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한 데 이어 내년에는 과학적으로 지반침하 조사 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그릴 계획이다. 관리주체가 많고, 다양한 지하시설물이 설치돼 복잡하게 얽혀 있는 지하 공간을 통합 관리하는 방식이다.

2029년까지는 서울 전역에 250개 관측정을 설치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침하 관측망’도 구축할 방침이다.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를 막기 위해 지하 10m 이상 굴착 공사장 10곳을 표본 점검했던 지하안전평가는 올해부터 전수조사를 하고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