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도 알 수 있게 재난 문자 개선해야”…시민단체·정의당 등 촉구

2024.06.17 16:20

부안 지진 때 대부분 한글로만 전송
“이주민들 내용 이해 못하는 상황”

광주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는 17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긴급재난문자를 다양한 언어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촉구했다. 광주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 제공.

광주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는 17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긴급재난문자를 다양한 언어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촉구했다. 광주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 제공.

광주전남 시민·사회단체에서 긴급재난 문자를 이주민들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언어로 발송할 수 있도록 시스템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왔다.

광주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는 17일 “긴급재난 문자를 다양한 언어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이날 광주시의회에서 노동계·시민사회단체와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주 부안 지진 당시 한글이 서툰 이주노동자는 긴급재난 문자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이들은 “긴급재난 문자는 차별이 없어야 한다”며 “이주노동자도 건강과 안전이 걸린 재난에 대처하도록 정부와 자치단체는 시스템을 전면 검토하라”고 강조했다.

정의당 광주시당도 국내 거주 외국어 사용자를 위한 재난 문자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광주시당은 이날 논평을 내고 “지난 12일 전북 부안에서 큰 지진이 발생했을 때 발송된 긴급재난 문자는 이주노동자를 비롯한 국내 거주 외국어 사용자들에게 충분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지진을 뜻하는 ‘Earthquake’를 영어로 표기했지만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의당은 “법무부 자료를 보면 5월 기준 호남권에만 13만명이 넘는 외국인이 살고 있다”면서 “정부는 외국어 사용자나 장애인 등 재난 정보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모든 사람이 안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지지체는 재난이 발생하면 이를 긴급하게 알려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긴급재난 문자를 발송하고 있다. 하지만 재난 문자는 대부분 한글로만 발송된다. 일부 영어가 포함된 때도 있지만 ‘특별한 상황’에만 허용된다.

부안 지진 발생 때 정부와 지자체가 보낸 재난 문자는 대부분 한글이었다. 기상청이 보낸 문자메시지는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 지역 M 4.7 지진/낙하물, 여진 주의 국민재난안전포털 참고대응 Earthquake’라고 적혀있었다. 지진 발생 지역과 규모, 주의 사항 등이 담겨있지만 한글을 모르는 사람은 이해하기 어렵다.

전남도와 기초 자치단체 등도 자체 ‘안전 안내 문자’를 추가로 보냈다. 이 문자에는 ‘낙하물로부터 몸 보호, 진동 멈춘 후 야외대피’ 등 행동요령과 ‘추가 여진 우려’ 등의 당부가 적혀있었지만 역시 모두 한글로만 발송됐다.

문길주 광주·전남노동안전지킴이 운영위원은 지난 12일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사무소에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긴급 재난 문자’ 발송 시스템을 개선해 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