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유아 독감 유행하는데 입원할 병원이 없다니

2022.10.09 20:44

1~6세 영·유아의 독감 등 호흡기 바이러스 유행세가 가파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1주일간(9월25일~10월1일) 이 연령대의 독감 의심 환자 수가 1000명당 12.1명으로, 전주보다 52.2% 급증했다. 독감 유행기준(4.9명)의 2.5배에 달한다. 그런데 영·유아 독감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데도 입원 병상과 전문의가 없어 치료를 받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의료를 시장 원리에만 맡겨둔 결과로, 해결책이 시급하다.

경향신문 취재 결과 한 시민은 폐렴에 걸린 아이들의 병상을 수소문하다 닷새 만에 입원시켰다고 한다. 대학병원 응급실과 격리실은 모두 찼고, 병상을 갖춘 소아 전문병원 2곳도 즉시 입원이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입원실을 운영하지 않는다는 어린이 병원도 있었고, 대학병원에서 야간에 소아과 전문의가 없어 진료를 못 받았다는 얘기도 들었다고 한다. 코로나19에 대처하기 위해 호흡기 전담 병상을 확충하고 수시로 의료체계를 재정비했음에도 현실이 이렇다. 그동안 허다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의료체계에 문제가 드러난 것이다.

올가을 독감 유행은 예견된 일이다. 코로나19 방역으로 억제됐던 독감이 거리 두기 해제로 다시 나타난 것이다. 특히 독감 바이러스가 자연감염 이력이 적어 면역력이 취약한 영·유아 연령대부터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독감 외에도 6~12개월 유아 호흡기 감염병 중 하나인 메타뉴모 바이러스가 함께 퍼지고 있어 우려가 더 크다. 독감과 더불어 코로나19가 재유행하는 이른바 ‘트윈데믹’을 예의주시한다던 방역당국이 영·유아 독감에 대처하지 못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영·유아 환자가 응급실에서 즉시 치료를 받는 것은 물론 입원할 수 있도록 당장 조치해야 한다.

근본적인 문제는 소아청소년과 병원과 의사가 부족한 것이다. 소아과와 내과·외과·산부인과는 전공의들이 기피하는 분야다. 전국에 소아과가 없는 기초자치단체가 20곳에 달하고, 지난 5년간 연평균 132개의 소아과 병원이 폐업했다. 의료를 시장에만 맡기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실증하고 있다. 필수의료 분야의 수가를 높이는 방법만으로는 의료 공백을 메우기 어렵다. 정부는 공공의료 확충 등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