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의힘 전대 주자들, ‘총선 민의·국민 질문’ 답할 준비되었나

2024.06.21 18:04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를 뽑는 7·23 전당대회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나경원·윤상현 의원의 4파전 구도로 가닥이 잡혔다. 윤 의원은 21일 출마선언을 했고, 나머지 3명은 오는 23일 공식 출마선언을 할 예정이다. 벌써부터 쇄신·비전 경쟁이 아니라, 윤석열 대통령과의 거리 따라 친윤·비윤·반윤이니 하는 계파 대결 조짐을 보여 우려스럽다.

한 전 위원장은 4·10 총선 참패 다음날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물러났다. 총선 패배의 가장 큰 책임은 오만·불통 리더십으로 국정을 난맥에 빠뜨린 윤석열 대통령에 있다지만, 한 전 위원장도 ‘이·조(이재명·조국) 심판’ 캠페인으로 선거를 이끌다 참패한 책임이 적지 않다. 총선 패장이 사퇴 두 달 여만에 당을 다시 이끌겠다고 나선 이유부터 국민 앞에 밝혀야 한다. 당내 팬덤,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기류에 편승해 당권을 대선으로 가는 징검다리로 삼으려는 것인가.

원 전 장관은 지난 20일 “당과 정부가 한마음 한뜻으로 변화와 개혁을 이뤄내야 한다”고 당대표에 도전장을 냈다. 그는 인천 계양을 총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패배한 뒤 잠행하더니, 돌연 전대에 뛰어들었다. 김건희 여사의 서울·양평 고속도로 의혹을 육탄방어했던 그가 대통령실과 친윤계 교감 속에 ‘한동훈 대항마’로 나선 게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나경원·윤상현 의원은 5선 중진으로 정치 경험은 많지만 신선함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당은 총선 참패로 절체절명 위기에 봉착해 있다. 그렇다면 총선 민의에 대한 겸허한 수용과 처절한 자기 반성에서 쇄신을 시작해야 한다. 당권 주자들은 국민이 던지는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 먼저, 대통령실과의 수직적 당정 관계를 어떻게 바로잡을지 밝혀야 한다. 해병대원 채 상병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대한 입장 표명이 가늠자가 될 수 있다. 윤 대통령 부부 방탄을 위해 특검법을 한사코 막을 것인지, 또는 대다수 국민이 지지하는 특검법 통과에 힘을 보탤지 분명히 얘기해야 한다. 당권 주자들은 또 여소야대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야당과의 협치를 어떻게 할지, ‘영남·기득권·웰빙 정당’을 어떻게 환골탈태할지 대안도 내놓아야 한다.

이번 전당대회는 비전·혁신 경쟁의 무대여야 한다. 줄 세우기, 계파 세몰이로 진행된다면 국민들은 여당이 아무리 달라지겠다고 해도 믿지 않을 것이다. 대통령실도 특정 후보 당선을 위해 전대에 개입하려는 생각 자체를 버려야 한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3·8 전당대회 당시 김기현 후보를 당선시키려고 무리수를 뒀지만 김 대표 체제는 무너지고, 여당의 총선 참패로 귀결됐음을 잊어선 안 된다.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기현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기현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