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대표 민생·정치개혁 ‘합창’

2003.07.01 00:53

여야 대표가 30일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 대표의 취임을 계기로 만나 민생·정치개혁 문제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며 모처럼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그러나 새 특검법에 관해선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는 등 대치를 계속했다.

◇특검법 대치=회동에서 민주당 정대철(鄭大哲) 대표는 “민주당은 ‘제2의 특검’과 ‘1백50억원 비자금’ 문제는 받을 수 없다”며 불가를 고수했다. “최대표는 ‘1백50억+α’에 대한 재특검을 받아들이는 게 바람직하다.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처리 문제가 나오면 내가 책임지겠다’고 맞섰다”고 배석한 한나라당 박종희(朴鍾熙) 대변인이 전했다. 두 대표는 결국 특검문제는 총무에게 맡긴다는 원칙론에만 합의했다.

신임 홍사덕(洪思德) 총무는 기존 한나라당 당론을 재확인했다. 홍총무는 “(대북송금 문제는) ‘만델라 방식’으로 하면 된다”며 “진상규명을 위해 김전대통령에 대해 조사는 하되 사법처리는 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앞서 홍총무는 국회 본회의장에서 민주당 정균환(鄭均桓) 총무와 짧은 첫 만남을 가졌으나 특검법은 논의조차 못했다. 특검법 상정을 위해 본회의 이후에 소집된 법사위는 여야 의원들의 팽팽한 대치로 자정 가까이까지 이어졌다. 한나라당측은 일단 상정한 뒤 총무 협상에 맡기자고 설득했으나 민주당은 특검 불가론으로 이를 외면했다. 긴 실랑이끝에 한나라당 소속 김기춘(金淇春) 위원장이 직권상정하는 순간 민주당 의원들은 모두 법사위장을 떠났다.

◇대표회동 안팎=두 사람은 회동에서 추경안 처리를 위해 국회 예결위원회를 조속히 구성하고 여야와 외부인사가 참여하는 ‘범국민정치개혁위원회’를 구성키로 하는 등 7개항에 합의했다.

두 사람은 특히 국내외 안보정세와 경제상황의 심각성에 공감, 연이은 파업사태와 사회기강 해이에 대한 정부의 단호한 대응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두 대표는 수시대화 원칙에 합의하고 국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품위있는 논평, 성명을 선보이기로 했다.

그러나 여야 영수회담 문제에 대해서는 정대표가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한번 만나자”고 제의하자 최대표는 “먼저 내가 1대 1로 만난 뒤 함께 만나자”고 답변, 다소 이견을 노출했다. 회동에선 최대표가 40여년전 취재기자로 당시 정객인 고 정일형(鄭一亨) 박사의 집을 드나들며 고교생 아들인 정대표를 처음 만난 인연도 화제에 올랐다.

<김정섭기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