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對日 분노의 표시”

2005.03.01 17:53

일본은 노무현 대통령의 3·1절 연설 내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특히 과거사와 관련해 배상 문제를 정식 거론했고, 일본측에 사실상 추가 조치를 요구했다는 점에서 당황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는 이날 출입 기자들로부터 논평을 요구받고 “과거사를 반성하면서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자고 합의했었다”며 “전향적으로 양국의 우호를 생각하는 편이 좋다”고 말했다. 그는 또 노대통령의 발언 의도에 대해 “(한국의) 국내사정을 생각하고 일본과의 우호도 고려해 발언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정부 대변인인 호소다 히로유키(細田博之)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양국이 좀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으로 이해한다”고만 언급했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일본 정부 관계자는 “전후 보상 문제는 1965년 맺은 한·일협정으로 일괄 마무리됐다는 것이 일본의 입장”이라면서도 “노대통령의 발언 내용을 주의깊게 살펴보고 있다”며 진의 파악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일본 언론은 노대통령의 이번 연설에 대해 ‘양국 미래지향을 강조했던 기존 발언과는 전혀 수위가 다른 전례없는 강경 발언’으로 받아들이며 향후 한·일 관계의 흐름에 크게 주목했다.

공영방송인 NHK는 매 시간 주요뉴스로 노대통령의 3·1절 연설 내용을 전했다. 교도통신은 “노대통령이 일본에 과거 진실규명-사죄-배상-화해의 절차를 제시한 것은 일본측의 노력 없이는 한·일 관계의 발전이 어렵다는 인식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일본에 대한 분노의 표시”라고 풀이했다.

아사히 신문은 “노대통령의 3·1절 연설은 임기중에 역사 문제를 제기하지 않겠다고 말해온 기존 입장을 뛰어넘은 매우 비장한 어조였다”며 “이는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 등 일본측의 역사인식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자민당 의원 6명이 오는 4~6일로 예정했던 한국 방문 계획을 취소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자민당 의원들은 다카오 도시유키 주한일본대사의 ‘독도는 일본 땅’ 발언 등으로 한국내에 반일 감정이 거세진 상황에서 한국 방문은 어렵다며 이같이 결정했다.

〈도쿄|박용채특파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