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한국 집회·결사 자유 보고서’ 파장

유엔 특별보고관 “위안부 합의, 문제 있다”

2016.06.16 23:22 입력 2016.06.17 00:28 수정
이지선 기자

“피해자 의견 등 인권기구 권고·원칙 고려 안 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만난 두브라브카 시모노비치 유엔 여성대상범죄 특별보고관이 “(한국과 일본) 양국의 (위안부 문제 관련 합의) 발표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등 인권기구의 권고와 원칙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소녀상 모형 전달</b> 유엔 인권이사회 참석을 위해 스위스를 방문 중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오른쪽)가 15일(현지시간) 제네바 유엔본부에서 두브라브카 시모노비치 유엔 여성대상범죄 특별보고관에게 평화의 소녀상 모형을 전달하고 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페이스북

소녀상 모형 전달 유엔 인권이사회 참석을 위해 스위스를 방문 중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오른쪽)가 15일(현지시간) 제네바 유엔본부에서 두브라브카 시모노비치 유엔 여성대상범죄 특별보고관에게 평화의 소녀상 모형을 전달하고 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페이스북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90)는 1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모노비치 특별보고관과 면담을 갖고 일본 정부의 사죄를 촉구하며 유엔의 협조를 요청했다.

김 할머니는 “우리가 바라는 것은 보상보다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인데 아직 일본은 민간에서 한 일이며 정부와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고 말했다. 이어 “많은 시민들이 정부에서 이유 없이 돈을 받아 재단을 만들려는 데 대해 반대하며 할머니들과 손잡고 시민들이 세우는 재단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며 “피해자들과 상의도 없이 (위안부 문제가) 타결됐다고 한 것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시모노비치 특별보고관은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 중요한데 한·일 양국 합의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양국의 발표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등 인권기구 권고와 원칙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할머니들을 지지하고 협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할머니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관계자들은 지난 13일부터 다음달 7일 열리는 제32차 유엔 인권이사회 총회 기간에 맞춰 제네바를 방문 중이다. 김 할머니는 시모노비치 특별보고관에게 평화의 소녀상 모형과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상징하는 나비 배지를 전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