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사 재보선, ‘지역소외’ 이구동성… 삼척 원전 등도 쟁점

2011.04.06 21:40

유권자가 보는 강원 이슈

4·27 강원지사 보궐선거를 유권자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유일한 광역단체장 선거인 만큼 이슈는 다양했지만 영동·영서 등 권역별로 차이가 났다. 지역소외론은 강원도의 공통분모로 자리했고 삼척 원자력발전소 건설, 구제역 대책, 남북관계 경색 등이 지역별 쟁점으로 포진했다.

‘강원 소외’와 민생 위기 정서는 넓고 깊게 퍼져 있었다. 6일 고성 거진시장에서 만난 상인 김창흠씨(52)는 “강원도가 얼마나 낙후됐는지 한번 보라. 이게 시장이냐”라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횡성 읍상리 길가에서 직접 재배한 감자를 팔던 김신옥 할머니(70)는 “우리 동네 발전시켜줄 사람이 제일”이라고 말했다. 춘천 강원대 앞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박옥임씨(46)는 “대학교 앞인데도 이렇게 장사가 안된다”고 하소연했다.

흐름은 갈렸다. 속초에서 만난 이기동씨(56·자영업)는 “발전을 위해선 여당 후보”라고 밝힌 반면 전창희씨(50·택시기사)는 “무조건 여당을 찍어주면 잘해줄 줄 알았는데 아무것도 된 게 없다. 강원도 사람들을 무시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원전유치 문제는 삼척을 넘어 주변 지역도 영향권이었다. 인구 7만명의 삼척에선 ‘원전을 유치해 경제를 살려보자’와 ‘원전 유치에 결사 반대한다’는 찬반 양론이 일본 대지진 후 격렬해지고 있다. 삼척에선 원전 유치 찬성파는 엄기영 후보, 반대파는 최문순 후보에 대한 지지로 연결되는 듯했다. 속초와 횡성 등지에서도 원전 문제는 화제였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기대는 높았다. 다만 “김진선(전 강원지사)을 봐. 올림픽 유치한다고 3번이나 해먹었는데 아무것도 된 게 없어. 정치권이든 정부든 말만 많아”(조문식씨·68·횡성)라는 시큰둥한 반응도 나왔다.

북한과 맞닿은 동북부 지역에서는 금강산관광 중단 등으로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맞고 있었다. 고성에 사는 이종복씨(56·자영업)는 “이북에서 난리친다고 때려서 잡지만 말고 동생을 달래야지. 우리는 장사가 안돼 3년 전부터 그냥 놀고 있다”고 푸념했다. 횡성 5일장에 나온 김평수씨(54)는 “형이 소를 100마리 키우고 있다가 구제역으로 반 이상을 땅에 묻었다”면서 “구제역 농가 피해대책을 어떤 후보가 잘 마련해줄지 보고 있다”고 전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