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북·러 왕래, 양국 발전 위해 필요”…일 “한·미 비롯 국제사회와 긴밀 협조”

2024.06.19 21:14 입력 2024.06.19 22:20 수정

대조적 반응 보인 중·일

중국은 19일 북·러 정상회담에 대한 한국의 우려와 관련해 “양국의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이 전날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북·러 교류가 역내 평화·안정에 기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게 맞냐는 질문에 “조·러(북·러)는 우호적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을 위한 정상적 필요가 있고, 관련 고위급 왕래는 두 주권국가의 양자 간 일정”이라고 답했다.

한·중은 전날 서울에서 차관급 외교안보대화를 진행했다. 한국 외교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중국 당국자들이 조태열 외교장관을 예방한 자리에서 “러·북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 측은 이를 확인하는 질문에 ‘양자 간 일정’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한·미·일 협력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러 간 군사 연계, 협력 강화 등을 포함해 일본을 둘러싼 지역 내 안보 환경이 한층 엄중해졌다”고 말했다. 북·러 정상회담 결과 양국이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에 대한 향후 대응책을 묻자 내놓은 답이다. 하야시 장관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완전한 이행 등을 포함해 미국,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이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활동이 종료된 것은 유감”이라며 “일본으로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의 자금줄을 끊는 관점에서 앞으로도 대북제재위에서의 논의를 포함한 대북 대응 관련 논의에 적극 관여해 안보리 결의 실효성을 제고하고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